SBS 시청률 12.7%로 급등… MBC, 8%대 찍고 하락세
MBC가 간판 뉴스 프로그램인 ‘뉴스데스크’를 주말에 이어 평일도 한 시간 앞당겨 오후 8시로 옮긴 지 한 달이 다 돼 가면서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지난 5일 방송 시간대를 옮긴 ‘뉴스데스크’는 초반 시청률을 2% 포인트가량 끌어올리며 안착했다는 긍정적인 평가와 뉴스 콘텐츠의 질이 떨어졌다는 비판을 함께 받으면서 좌표 설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기간 같은 시간대의 SBS ‘8뉴스’ 시청률은 오히려 2배 가까이 급등, ‘뉴스데스크’가 만년 3등으로 처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11/27/SSI_20121127022356.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11/27/SSI_20121127022356.jpg)
26일 시청률 조사기관인 AGB닐슨미디어리서치에 따르면 ‘뉴스데스크’의 시청률은 10%를 웃도는 SBS ‘8뉴스’ 시청률(전국 기준)의 절반 수준에 그치고 있다. 시간대 변경 직전인 지난 2일 5%대 시청률에 머물며, 24% 안팎의 시청률을 기록한 KBS ‘9시 뉴스’에 일방적으로 밀리던 때와 비교하면 호전됐으나 기대에는 크게 못 미친다.
‘뉴스데스크’는 개편 직후 첫 방송에서 8.3%로 시청률을 끌어올린 뒤 한때 9%까지 기록했지만 현재 6%선까지 밀렸다. MBC 측은 시청자의 달라진 생활패턴에 맞춰 프로그램을 큰 폭으로 수술하며 서울 잠실 상공에 헬기를 띄워 야경을 실시간으로 보여주거나(‘이 시각 대한민국’), 시청자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기도(‘경청 코리아’) 했다. 하지만 사상 최악의 대선 편파 방송이란 지적과 함께 잦은 방송 사고가 맞물리면서 시청자들은 온라인 게시판을 통해 “내용은 안 바꾸고 시간대만 바꿨다.”는 실망감을 나타냈다. 일각에선 상대적으로 ‘젊고’ ‘타매체 접촉률이 높은’ MBC 뉴스 시청자들의 특성이 무시돼 시청자 이탈이 가속화한 반면 새로운 시청자 유입에는 실패했다고 설명한다.
이를 반영하듯 ‘8뉴스’와의 격차마저 벌어지고 있다. 지난 23일 ‘뉴스데스크’와 ‘8뉴스’의 시청률은 각각 6.3%와 11.1%로 5% 포인트 가까이 차이가 났다. 10월 말 ‘8뉴스’ 시청률이 5%대 후반에 머물던 것을 감안하면, 8시에 방영되는 뉴스의 판을 키워 SBS에 반사이익만 안겼다는 분석이 나올 만하다. 이용성 한서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MBC가 ‘뉴스데스크’만이 지닌 고유의 뉴스 가치를 되살리기보다 새 코너 등 외형 변화에만 치중하면서 답을 찾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MBC 노조도 “공정 보도로 국민들의 신뢰를 되찾는 것이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MBC 내부의 분위기는 여전히 느긋하다. ‘뉴스데스크’의 소폭 시청률 상승을 근거로, 내년에는 1등 탈환이 가능하다는 얘기까지 나온다.
한편 ‘뉴스데스크’의 시간대 변경은 일일 드라마와 월화 시트콤에도 영향을 끼쳐 MBC를 사면초가의 궁지로 몰아넣었다. MBC 일일 드라마 ‘그대 없인 못살아’는 지난 5일 개편 첫날 시청률이 6.2%로 반토막 났었고, 후속작인 일일 드라마 ‘오자룡이 간다’도 전반적인 호평에도 불구하고 5~6%의 시청률에 머무르며 같은 시간대의 SBS 일일극과 3배가 넘는 격차를 드러내고 있다. 개편 전부터 낮은 시청률로 고전했던 MBC 시트콤 역시 한 자릿수 시청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결국 광고 가격의 덜미를 잡아 ‘뉴스데스크’를 전후한 방송의 광고 단가는 15초 기준으로 일일극 200만원, 뉴스데스크 100만원가량이 각각 하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2-11-27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