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리뷰] ‘심야식당’

[뮤지컬 리뷰] ‘심야식당’

입력 2012-12-14 00:00
업데이트 2012-12-1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맛깔스러운 음식에 담은 따뜻한 위로·감동

“오늘도 감자샐러드를 세 접시나 비웠네. 어머니가 많이 그리운 모양이야. 이 아가씨는 소스 야키소바 위에 계란 프라이를 얹어 달라는데 늘 거의 손도 안 대고 가네. 아무래도 추억에 제대로 체한 모양이야.”

이미지 확대
별 몇 개가 아련히 떠 있는 밤. 어두컴컴한 일본 신주쿠의 뒷골목에 있는 작은 식당이 손님을 기다린다. ‘마스터’라는 주인은 인상은 험상궂지만 차분하게 손님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추억의 맛을 찾아주는 따뜻한 사람이다. 일본 만화가 아베 야로의 ‘심야식당’을 뮤지컬로 만든 이 작품은 그림과 글로 보던 맛을 무대로 옮겨 와 귀에 착 감기는 노래와 맛깔난 연기를 선사한다.

마스터가 자정에 식당 문을 여는 이유는 이렇다. “누구라도 위로받고 싶어서 배고파지는 시간이거든. 장사가 되느냐고? 근데 그게 꽤나 잘돼.”

ㄷ자 모양으로 놓인 탁자와 의자 여덟개가 전부인 작은 식당에 사람들은 저마다 사연을 갖고 들어온다. 동네 소식에 빠삭한 아저씨 타다시, 식당 앞 게이바 마담 코스즈, ‘영화 같은 사랑을 꿈꾸는’ 서른일곱 여인 3인방, 신주쿠의 간판 스트리퍼 마릴린, 그리고 뜨내기 손님들이 이곳을 오간다. 첫사랑처럼 달콤한 달걀말이, 어머니의 눈물만큼 짭짤한 감자샐러드, 아버지와 딸의 애정이 담긴 야키소바 등이 사연과 자연스럽게 녹아들면서 잔잔한 감동을 끌어낸다. 비록 만화처럼 사연을 세밀하게 전하지는 못해도 극의 흐름은 자연스럽다. 감정선이 가라앉을 때면 등장하는 멀티맨들과 ‘오차즈케 시스터스’가 유쾌하고 발랄한 노래와 연기로 객석을 웃음바다로 만든다.

중간 휴식 없이 110분 동안 울고 웃다 보면 깨끗이 비운 그릇처럼 마음이 가볍고 따듯하고 든든해진다. “화려하지는 않지만 훈훈한 이야기를 해 보고 싶었다.”는 김동연 연출의 의도가 통한 셈이다. 뒷골목을 아기자기하게 재현한 무대도 돋보인다. 인물 이름과 간판, 글자 등이 모두 일본어라 다소 거슬릴 수도 있겠다. “인물의 내면을 잘 살펴 주는 ‘심야식당스러운 것’을 살리고 싶었다.”는 게 대본을 쓴 정영 작가의 설명이다. 원작자의 요청이기도 했다. 배경만 일본일 뿐 심야식당을 찾는 사람들의 이야기와 그곳에서 받는 위로는 우리네 이야기와 판박이다. 내년 2월 17일까지 서울 종로구 동숭로 동숭아트센터 동숭홀. 3만~7만원. (02)766-3440.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12-12-14 1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