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 관객과 소통하다

작품, 관객과 소통하다

입력 2013-01-09 00:00
수정 2013-01-09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몽타주 기법 작품 전시한 ‘노코멘트’

증강현실, 아니 ‘증강 그림자’(Augmented Shadow)다. 모션 그래픽 작업을 쭉 선보여왔던 문준용 작가의 작품이다. 2011년 광주디자인비엔날레에서 관람객이 테이블에 손대는 순간 일본 애니메이션 ‘이웃집 토토로’의 먼지괴물이 모여들도록 만든 ‘마쿠로쿠로스케 테이블’로 인기 꽤나 끌었던 작가다. 이번 작품도 예전 같은 모션 그래픽 작업이다. 테이블 위에 사각형 상자들이 있는데, 흥미로운 것은 등장하는 것들 간의 관계다. 빛이 있는 곳에 나무가 자라고 없어지면 사그라진다. 밝을 땐 집 안에 사람이 있다가, 어두워지면 빛을 찾아 집 밖으로 나선다. 새들은 사람이 손을 대는 순간 다른 곳으로 날아가 버린다. 그래서 관람객이 어떻게 사각형 상자들을 배치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움직임이 관찰된다.

이미지 확대
문준용의 ‘증강 그림자’
문준용의 ‘증강 그림자’
편집에 의한 이미지와 이미지의 충돌, 몽타주. ‘전함 포템킨’의 에이젠슈타인 이래 늘 언급되어오는 기법이다. 2월 17일까지 서울 관악로 서울대미술관에서 열리는 ‘노 코멘트’(No Comment)전은 이런 몽타주 기법에 대한 전시다. 충돌에 대한 해석은 말하지 않을 테니, 알아서들 해석하라는 것이다. 문준용 작가 외 10여 명의 작가들이 참가, 영상이나 설치 등 다양한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최기창 작가의 ‘아이 콘택트’(Eye Contact)는 아예 눈싸움을 소재로 삼고 있다. 양쪽으로 마주보게 된 화면에는 두 인물이 가득한데, 이 두 인물 가운데 누구 하나가 눈을 깜빡이면 아쉬워하면서 인물이 교체된다. 실제 눈싸움은 전혀 아님에도 함께 배치해두니 눈싸움처럼 보인다. 낯선 서구식 집의 밤 풍경을 사진으로 찍은 뒤 앞에다 기묘한 사다리 등을 배치해둔 이정후 작가의 ‘유연한 풍경’ 역시 상상력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작품이다. 3000원. (02)880-9504.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3-01-09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