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계 지적생명체와의 소통 가능할까

외계 지적생명체와의 소통 가능할까

입력 2013-01-10 00:00
업데이트 2013-01-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KBS1 10일 밤 ‘과학스페셜’

‘거대한 우주에 인류밖에 없다면 그건 엄청난 공간의 낭비일 거야.’ ‘코스모스’로 유명한 미국 천문학자 칼 세이건(1934~1996)의 소설을 영화로 만든 로버트 저메키스 감독, 조디 포스터 주연의 ‘콘택트’에 나온 명대사다. KBS 1TV ‘과학스페셜’에서 10일 밤 10시에 방송되는 ‘2013 스페이스 오디세이-외계 생명체’ 1부 ‘그들은 UFO를 타고 오지 않는다’에는 세이건이나 영화 속 주인공과 비슷한 생각을 하는 이들이 나온다.

태양계가 속해 있는 우리 은하에는 태양과 같이 스스로 빛을 내는 별이 최소 1000억개 있다. 1초에 하나씩 센다면 약 3200년이 걸리는 엄청난 숫자다. KBS 제공
태양계가 속해 있는 우리 은하에는 태양과 같이 스스로 빛을 내는 별이 최소 1000억개 있다. 1초에 하나씩 센다면 약 3200년이 걸리는 엄청난 숫자다.
KBS 제공


우주 생명체와의 소통이 몽상가의 헛된 꿈은 아니다. 제작진은 외계 지적 생명체의 신호를 찾는 SETI(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 프로젝트 연구원의 목소리를 담았다. 또한 외계 문명의 수를 예측하는 공식인 드레이크 방정식을 만든 SETI 연구소 소장 프랭크 드레이크 박사를 만났다. 드레이크 방정식은 ‘N=R*·fp·ne·fl·fi·fc·L’로 표기된다. N은 은하계 속에서 탐지할 수 있는 고도 문명의 수, R*은 은하계 속에서 지적 생명이 발달하는 데 적합한 항성이 태어날 비율이다. fp는 그 항성이 행성계를 가질 비율, ne는 그 행성계가 생명에 적합한 환경의 행성을 가질 비율, fl은 그 행성에서 생명이 발생할 확률, fi는 그 생명이 지성의 단계로까지 진화할 확률, fc는 지적 생명체가 다른 천체와 교신할 수 있는 기술 문명을 발달시킬 확률이다. L은 그러한 문명이 탐사 가능한 상태로 존재하는 시간이다.

최저온도 섭씨 영하 120도, 대기압은 지구의 0.75%에 불과한 척박한 화성에는 지금 이 순간에도 붉은 흙을 파내고 레이저를 쏘아 성분을 검출하는 존재가 있다. 과학기술이 고도로 집약된, 걸어다니는 실험실 큐리오시티다. 제작진은 큐리오시티가 보낸 고화질 영상을 통해 화성의 속살을 들여다봤다. 또한 인류 역사상 가장 먼 곳까지 날아간 보이저1호는 지금도 1초에 17㎞씩 날아가고 있다. ‘보이저호의 아버지’ 애드스톤 박사로부터 태양계의 비밀을 전해 듣는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3-01-10 2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