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성서… 축조법 규명 도움
충남 공주시 공산성(사적 제12호)의 성벽 붕괴 구간에서 백제시대 판축성벽(版築城壁)이 처음으로 확인됐다고 문화재청이 1일 밝혔다. 판축성벽이란 판으로 틀을 떠서 시루떡처럼 지반을 단단히 만든 성벽을 뜻한다. 문화재청은 이번 발굴이 웅진 도읍기 공산성의 축조 기법 규명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백제시대 판축성벽(版築城壁)
확인된 백제 시대 성벽의 판축부는 암벽을 ‘ㄴ’자 모양으로 인위적으로 깎은 뒤 3m가량 너비로 판축다짐하면서 조성된 것이다. 판축된 성벽의 기저부에서 백제 시대 기와편이 다수 출토돼 당시 암반 지역에 이르기까지 대대적인 축성(築城) 작업이 이뤄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성벽 유구에선 사탕 봉지 등 1970년대 유물도 나와 지속적인 개·보수가 이뤄진 것으로 파악됐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그동안 백제 웅진 도읍기 왕성인 공산성의 축조 기법은 규명하지 못하고 있었다”면서 “이번 조사로 일부 구간에서나마 성벽의 축조 기법이 구체적으로 확인됨으로써 백제 성벽 축조 기법의 연결고리를 알게 됐다”고 말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4-02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