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보타사 마애보살좌상 등 3건 보물 지정

서울 보타사 마애보살좌상 등 3건 보물 지정

입력 2014-07-08 00:00
업데이트 2014-07-08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청룡사 목조관음상’ 등은 ‘예고’

문화재청은 ‘서울 보타사 마애보살좌상’ 등 3건을 보물로 지정했다고 7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보타사 마애보살좌상
보타사 마애보살좌상
이미지 확대
청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청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서울 보타사 마애보살좌상’(보물 제1828호)은 개운사의 암자인 보타사 대웅전 뒤쪽 암벽에 조각된 상으로, 제작시기는 고려 말 혹은 조선 초로 추정된다. 넓은 어깨와 높은 무릎 등 웅장한 규모와 양호한 보존 상태를 지녀 중요성이 강조돼 왔다.

‘대전 비래사 목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제1829호)은 등신대(等身大)보다 조금 작은 크기의 불상으로, 전체적으로 차분하고 단정한 조형감을 품고 있다. 불상의 밑면에 쓰여 있는 기록을 통해 제작시기(1650년·효종 1년)를 알 수 있다.

‘분청사기 상감 정통4년명 김명리 묘지’(보물 제1830호)는 조선 시대 성천도호부 부사이던 김명리(1368~1438년)의 가계와 이력 등 행장(行狀·사람의 평생 행적을 기록)을 적은 묘지다. 종 모양의 특이한 형태를 띠고 있는 데다 묘지에 쓰인 내용이 조선 초기 사료를 보완할 중요한 내용으로 평가받는다.

이 밖에 문화재청은 조선후기 불상들인 전북 김제 청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과 전남 나주 다보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소조나한좌상을 각각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덧붙였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7-08 2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