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진 “윤제균, 지금 세대에 큰힘 되는 영화 만들어주길”

남진 “윤제균, 지금 세대에 큰힘 되는 영화 만들어주길”

입력 2015-02-08 11:57
수정 2015-02-08 11: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제시장’ 윤제균 만나 고마움 전해…젊은 날 영화 수십편 출연

“’국제시장’처럼 국민이 함께하고 애환을 달랠 수 있고 또 희망을 가질 수 있고 요즘 젊은 세대에게 교훈이 되는, 지금 살아가는 세대에게 큰 힘이 되는 멋진 국민 영화를 만들어주길 기대합니다.”

1960~70년대 전설인 가수 남진(70)이 1천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국제시장’의 윤제균(46) 감독과 만난 자리에서 이렇게 당부하며 응원했다.

지난 5일 강남구 압구정동의 한 음식점에서 윤 감독을 만난 남진은 ‘국제시장’에서 자신을 시대를 대표하는 인물 중 하나로 스크린에 그려준 데 대해 “영화보고 군대 생활, 선배 생각 등 옛날 생각을 많이 했다. 그런 자취를 담아냈으니 윤 감독 대단한 친구”라며 고마움을 표시했다.

윤 감독도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인간적이시다”며 “평생 스타로 살아오셨으니까 저하고 대회가 잘 될 수 있을까 생각했는데 소탈하시고 인간적이시다”고 화답했다.

전남 목포의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난 남진은 시대를 풍미한 가수로 전설의 반열에 올랐지만 사실 영화배우를 꿈꿨다. ‘국제시장’에선 동방신기의 유노윤호가 연기한 남진이 베트남전 참전 장면에 짧게 등장했지만 그는 젊은 날 가수뿐 아니라 스크린에서 크게 활약했다.

’국제시장’을 계기로 오랜만에 영화를 봤다는 그는 “난 배우의 대사를 더빙하던 시대에 영화를 찍었다”며 “그렇게 촬영하다가 우리 영화가 기술적인 면에서 이렇게 발전한 지 몰랐다”고 감탄했다.

서울로 올라와 경복중학교를 다닌 그는 한양대학교 연극영화과로 진학했다.

그러나 학창 시절 즐겨 들은 엘비스 프레슬리, 냇킹 콜, 폴 앵카 등 팝스타들의 음악이 가수의 길로 인도해 1964년 ‘서울 플레이보이’로 데뷔했다.

1965년 트로트곡 ‘울려고 내가 왔나’로 이름을 알린 그는 잘생긴 외모 덕에 영화에도 캐스팅돼 주연으로 출연한 작품만 수십 편이다.

자신이 히트시킨 노래 ‘가슴 아프게’와 동명 영화인 1967년 ‘가슴 아프게’를 시작으로 영화 ‘그리움은 가슴마다’ 등을 흥행시켰다. 1969년 베트남전 참전 후 1971년 서울시민회관(현 세종문화회관)에서 성공적인 컴백 공연을 하고도 ‘어머님 전상서’, ‘아내여 미안하다’, ‘세노야 세노야’, ‘산녀’, ‘가수왕’, ‘숙녀 초년생’ 등 1970년대 다량의 작품에 출연했다.

당대 여배우 문희, 윤정희 등과도 호흡을 맞췄고 시대의 라이벌인 가수 나훈아와 함께 출연한 작품도 있다.

윤 감독이 “힘들고 어려운 시절 국민에게 즐거움과 행복을 준 세대인 남진-나훈아 선생님의 라이벌 시대를 언젠가 영화로 만들어보고 싶은 생각이 있다”고 말하자 남진은 그렇게 된다면 “내면적인 얘기가 다뤄졌으면 좋겠다”고 자신의 세밀한 이야기도 들려줬다.

남진은 “어머니는 서른 살 먹은 아들 따귀도 때리시던 분”이라며 “돌아가신 지 20년이 넘었는데 어머니 제삿날 빠지지 않고 하는 기도가 있다. ‘새끼 키워보니 어머니 맘 아프게 한 거 압니다. 미안합니다’라고 기도한다”고 말했다.

”제가 1남 3녀를 길렀어요. 큰 손주가 올해 5살이 됐습니다. 상을 많이 받아도 칭찬 한번 안 하시던 어머니가 딸 셋에 이어 아들을 낳자 ‘너도 이제 성공했다’고 말씀하시더군요. 하하.”

이용균 서울시의원, 강북구 70억원 추경 확정…“교육부터 안전까지 주민 삶 바꾼다”

서울시의회 이용균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3)은 제331회 정례회 제4차 본회의에서 2025년도 서울시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이 최종 의결됨에 따라, 강북구 지역 교육환경 개선과 생활 인프라 확충을 위한 예산 70억원이 확정됐다고 밝혔다. 특히 이 의원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계수위원으로 활동하며 강북구 초중고등학교의 학교시설 개선과 디지털 학습 인프라 확충을 위한 예산 확보를 위해 노력한 결과, 교육 분야에서는 총 44억원 규모의 예산이 확정됐다. 삼양초와 성암여중에는 각각 어린이 활동공간과 실내체육공간의 유해 요소를 제거하고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공사비 5000만원이 배정됐다. 삼각산고와 유현초에는 전자칠판 설치 및 기자재 구입 등을 위한 1억 3800만원이 투입돼 스마트교육 기반 강화가 기대된다. 영훈고는 틈새 공간을 힐링공간으로 재조성하는 데 1억 2900만원이 반영됐고, 신일중과 성암국제무역고, 솔샘고에는 조리실 위생 개선, 통학로 정비, 옥상 노후화 개선 등 1억 3300만원의 예산이 각각 편성됐다. 지역 주민의 생활편의 증진을 위한 지역투자사업에도 26억원 규모의 예산이 확정됐다. 인수봉로의 파손되고 침하된 노후 보도를 정비하기 위한 예산 3억 3
thumbnail - 이용균 서울시의원, 강북구 70억원 추경 확정…“교육부터 안전까지 주민 삶 바꾼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