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개신교 130주년 초기 선교사의 영성을 찾아서-상] 언더우드
1885년 4월 5일 부활절. 한국 개신교는 이날을 개신교 전래의 시초로 새긴다. 미국 장로교의 호러스 언더우드(1859~1916)와 감리교 소속의 헨리 아펜젤러(1858~1902)가 같은 배를 타고 제물포에 도착한 날이다. 20대 중반의 두 선교사는 아무도 눈길을 주지 않던 ‘땅끝’이었을 척박한 조선 땅에서 복음을 전파하면서 교육, 의료 선교에 온몸을 바쳤다. 그 이후로 한국 개신교는 전례가 없을 만큼 괄목할 성장을 이뤘고, 뻗어 가는 교세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개신교 전래 130주년을 맞아 새에덴교회(담임목사 소강석)가 지난 7∼11일 진행한 답사 행사를 따라 두 선교사의 삶과 기억, 남겨 놓은 발자취를 더듬어 봤다.![뉴브런즈윅 신학교 도서관 2층에 세워진 언더우드 흉상. 이 신학교를 졸업한 선교사 중 유일한 동상으로 연세대가 기증해 세워졌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9/15/SSI_20150915150159_O2.jpg)
![뉴브런즈윅 신학교 도서관 2층에 세워진 언더우드 흉상. 이 신학교를 졸업한 선교사 중 유일한 동상으로 연세대가 기증해 세워졌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9/15/SSI_20150915150159.jpg)
뉴브런즈윅 신학교 도서관 2층에 세워진 언더우드 흉상. 이 신학교를 졸업한 선교사 중 유일한 동상으로 연세대가 기증해 세워졌다.
이 땅에 발을 디딘 언더우드가 처음 남긴 기도문. 한국 개신교계가 줄곧 새긴다는 기도문을 뇌며 처음 찾은 곳은 뉴저지주 북부 노스버겐의 그로브 개혁교회. 영국 런던에서 태어난 언더우드가 1872년 미국에 정착해 선교사의 꿈을 키웠다는 그 교회다.
한적한 마을 입구에 오뚝 선 자그마한 예배당. 이 땅에 복음을 전한 첫 선교사가 다니던 교회치곤 작다 싶은 생각을 하던 무렵 인솔 목사의 설명이 머리를 때린다. 언더우드의 학창 시절 멘토 역할을 했던 이 교회 윌리엄 아우구스트스 캔 마본 목사의 역할이 컸던 것 같다. 뉴욕대를 졸업한 뒤 뉴브런즈윅 신학교에 진학한 언더우드를 가르쳤던 마본 목사는 실천적이고 복음 전도적 성향의 목회자였다고 한다. 한국으로 떠나기 전 언더우드에게 목사 안수를 준 마본 목사는 분명 언더우드 영성의 뿌리였을 것이다. 교회 뒤편의 공원묘지. 언더우드와 그 가족들이 1999년까지 묻혀 있던 곳이다. 언더우드는 건강 악화로 귀국해 57세 나이에 애틀랜틱시티의 한 병원에서 숨졌고 이곳에 묻혔다가 서울 마포구 양화진 외국인 공원묘지에 가족과 함께 안장됐다. 지금은 묘역과 비만이 덜렁 남았다.
![한국행을 결심한 뉴브런즈윅 신학교 도서관. 1885년 부활절 제물포에 도착한 언더우드는 교육과 의료 선교에 온몸을 바친 한국 최초의 선교사로 자리매김된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9/15/SSI_20150915150238_O2.jpg)
![한국행을 결심한 뉴브런즈윅 신학교 도서관. 1885년 부활절 제물포에 도착한 언더우드는 교육과 의료 선교에 온몸을 바친 한국 최초의 선교사로 자리매김된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9/15/SSI_20150915150238.jpg)
한국행을 결심한 뉴브런즈윅 신학교 도서관. 1885년 부활절 제물포에 도착한 언더우드는 교육과 의료 선교에 온몸을 바친 한국 최초의 선교사로 자리매김된다.
언더우드가 공부했다는 뉴브런즈윅 신학교 도서관 2층에 선 언더우드 흉상이 눈에 쏙 든다. 연세대가 기증해 세웠다는 흉상이고, 이 학교를 졸업한 선교사 중 유일하게 남은 동상이라니 언더우드가 이 신학교에서 어떤 위상을 갖는지 짐작하게 한다. 실제로 이 신학교는 지난해 개교 230주년을 맞아 한국의 김진홍 교수를 센터장으로 하는 언더우드 글로벌 크리스천 센터를 설립했다. 이번 학기에는 230년 사상 첫 외국어 과정인 신학연구 한국어 과정도 개설된다.
![필라델피아 미국장로교역사박물관에 보관된 사진. 1893년 한국 파송 선교사 대회에서 언더우드(앞줄 왼쪽)가 첫째 아들 호털 언더우드를 안고 있는 부인과 나란히 앉아 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9/15/SSI_20150915150459_O2.jpg)
![필라델피아 미국장로교역사박물관에 보관된 사진. 1893년 한국 파송 선교사 대회에서 언더우드(앞줄 왼쪽)가 첫째 아들 호털 언더우드를 안고 있는 부인과 나란히 앉아 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9/15/SSI_20150915150459.jpg)
필라델피아 미국장로교역사박물관에 보관된 사진. 1893년 한국 파송 선교사 대회에서 언더우드(앞줄 왼쪽)가 첫째 아들 호털 언더우드를 안고 있는 부인과 나란히 앉아 있다.
“인도에 가려고 의학 공부까지 했던 언더우드는 1200만∼1300만명이 복음 없이 살고 있다’는 한 목사의 보고서를 보고 마음을 바꾼 것 같아요. 한국에 보낼 선교사를 찾던 중 ‘네가 가는 게 어떻겠는냐’는 내면의 목소리를 듣고 선교지를 바꿨다는 고백 문서가 있어요.”
이 땅에 복음을 전한 첫 선교사 언더우드의 발자취는 미국 곳곳에 남아 있고, 그 흔적은 매우 귀하게 보존되고 있다. 답사단이 마지막으로 찾은 필라델피아의 미국장로교역사박물관에서도 언더우드는 혁혁하다. 이곳에 보관된 미국장로교사와 선교 관련 자료 3만 4000박스 중 언더우드의 자료가 가장 많다. 한국에 복음을 전한 첫 선교사란 점뿐만이 아니다. 미국 개신교에서도 언더우드의 위상은 명불허전인 것이다.
언더우드가 뿌린 밀알은 지금 한국에서 어떤 모습으로 커 있을까. 언더우드가 한국행을 결심한 그 회심의 자리인 뉴브런즈윅 신학교를 떠나는 일행에게 김진홍 교수가 던진 한마디가 머릿속에 휘돈다.
“언더우드는 복음 전도에 머물지 않았어요. 교회가 사회를 이끄는 크리스천 코리아를 꿈꿨다고 할까요. 기독교로 하나가 되는 세상을 그리면서 나와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끌어안을 수 있는 인간이었지요.”
뉴저지· 필라델피아(미국) 글 김성호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kimu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