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년 만에 박수근의 ‘빨래터’ 제쳐
김환기(1913~1974) 화백의 작품이 국내 미술품 경매 최고가를 경신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10/06/SSI_20151006173005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10/06/SSI_20151006173005.jpg)
미술품 경매 전문회사 서울옥션이 지난 5일 홍콩 르네상스 하버뷰 호텔에서 실시한 제16회 홍콩경매에서 김환기의 1971년 작인 전면 점화 ‘19-Ⅶ-71 #209’(253×202cm)가 3100만 홍콩달러, 한화로 약 47억 2100만원에 낙찰됐다. 이는 2007년 5월 서울옥션 국내 경매에서 45억 2000만원에 낙찰된 박수근 화백의 ‘빨래터’를 제치고 9년 만에 국내 작가 미술품 중 경매 최고가를 기록한 것이다. 시작가 약 30억원(2000만 홍콩달러)에서 출발해 경합 끝에 아시안 컬렉터에게 낙찰됐다.
이 작품은 단색화 열기의 물꼬를 튼 전시로 평가받는 2012년 국립현대미술관 단색화 전시에 출품됐던 4점 중 한 점이다. 지금까지 시장에 나온 김환기 작가의 전면 점화 가운데 가장 큰 대작(大作)이다. 기존에 경매에서 최고가로 낙찰된 김환기의 작품은 ‘꽃과 항아리’ 80호로 30억 5000만원에 팔렸다.
서울옥션 관계자는 “김환기 작품이 해외 시장에서 높은 가격에 낙찰됨에 따라 국내 작품에 대한 해외 컬렉터들의 관심이 높아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박수근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앉아 있는 여인’은 약 19억원(1300만 홍콩달러)에, 이응노의 ‘군상’은 약 1억 2000만원(80만 홍콩달러)에 각각 낙찰됐다. 시작가 약 6억원(400만 홍콩달러)에 나온 정상화의 ‘무제 05-3-25’는 11억 4200만원(750만 홍콩달러)에 낙찰됐다.
한편 이날 경매에서 최고가를 기록한 작품은 프랑스 태생의 미국 추상표현주의 조각가인 루이스 부르주아의 ‘콰란타니아’로 54억 8000만원(3600만 홍콩달러)에 팔렸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5-10-07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