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리문학상’ 수상 아모스 오즈 방한
이스라엘을 대표하는 작가 아모스 오즈(76)가 한국을 처음 찾았다. 24일 강원 원주 토지문화관에서 열리는 제5회 박경리문학상 시상식 참석을 위해서다.
토지문화재단 제공
아모스 오즈는 “작가로서 가장 중요한 건 타인을 상상하는 과정”이라며 “타자를 상상하는 과정을 통해 더 나은 남편, 더 나은 시민,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토지문화재단 제공
토지문화재단 제공
오즈는 22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너무 자랑스럽고 기쁘고 감사하다”고 소감을 말했다. 이어 “상을 받게 되면서 박경리 선생에 대해 알게 된 부분이 많다”며 박경리와 그의 문학 세계를 비교했다.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근대적인 산업국가 발전 등 ‘토지’에 묘사된 한국인의 삶이 참으로 인상 깊더군요. 제 책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최근 한국에 소개된 ‘사랑과 어둠의 이야기’는 박경리 선생이 토지를 통해 구현한 세계와 유사합니다. 한 가족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토지’는 한국의 근대국가 탄생을, 제 소설은 이스라엘 근대국가 탄생 과정을 조명했습니다.”
오즈는 히브리어로 작품을 쓴 1세대 작가다. 최근 10여년간 꾸준히 노벨문학상 후보로 거론돼 왔다. 1978년 이스라엘 평화운동단체 ‘피스 나우’를 설립하는 등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공존을 위해 활동해 온 사회운동가이도 하다. “한국은 일제의 강제 점령, 6·25전쟁, 분단 등 비극을 경험했습니다. 이러한 한국의 역사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역사와 비슷합니다. 분단, 억압, 정의가 살아나지 못한 역사를 많은 부분 공유하고 있습니다. 차이점은 한국은 단일민족이 분단돼 있는 반면 이스라엘은 두 민족이 분단돼 있다는 겁니다. 저는 줄곧 두 국가 두 민족이 공존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이 때문에 많은 이스라엘인들이 저를 반역자라고 비난합니다. 어느 한쪽이 전적으로 옳거나 틀리다는 시각은 버려야 합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평화를 위해선 두 체제를 인정해야 합니다.”
1965년 첫 단편집 ‘자칼의 울음소리’ 이후 지금까지 38권의 저서가 42개 언어로 번역 출간됐다. 국내엔 ‘나의 미카엘’ ‘첫사랑의 이름’ ‘블랙박스’ ‘여자를 안다는 것’ ‘친구 사이’ 등이 소개돼 있다. “제 소설엔 여성이 화자인 작품이 많습니다. 남성으로서 여성 캐릭터를 묘사하는 건 커다란 모험입니다. 세계 각국에 수백만 명의 독자가 있는데 대부분 여성 독자입니다. 그들은 책을 읽고 제게 편지를 보내는데 어떻게 여성들에 대해 그렇게 많이 아느냐는 칭찬도 있지만 여성에 대해 아무것도 모른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10-23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