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덕의 대서울 이야기]
부모님이 결혼한 뒤 내가 태어나고, 내가 아내와 결혼한 뒤 딸 아이가 태어나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다 합쳐서 거의 30번 정도 이사를 했다. 마포에서 시작한 나의 이사 인생은 반포, 부천 소사, 잠실, 안암동, 중계동, 고양 일산, 개포동, 신림동 등 서울시와 경기도 수도권 지역, 내가 말하는 <대서울>을 망라하고 있다. 40여년 동안 거쳐온 수도권의 지역들 가운데, 나는 초·중·고·대학 시절을 보낸 반포 지역을 마음의 고향으로 여기고 있다.반포는 구반포와 신반포로 나뉜다. 구반포 지역은 중산층을 대상으로 건설된 최초의 아파트인 반포 주공아파트가, 신반포 지역은 한신공영이 1970년대부터 90년대까지 세운 신반포 한신 1차~28차 아파트가 주를 이루고 있다. 내가 신반포에 살 당시에는 사방 어디를 둘러보아도 한신아파트가 보여서, 나와 친구들은 신반포를 “한신랜드”라고 농담삼아 부르고는 했다.
신반포 한신 아파트는 대체로 “몇 차” 아파트라고만 불리는데, 그 가운데 한남대교 남단교차로 근처에 있던 24차 아파트만은 대개 “성심 24차 아파트”라 불렸다. 이 아파트 단지의 이름에 “성심”이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는 이유를 최근에야 알게 되었다. 1946년부터 1984년 사이에 성심원이라는 이름의 아동양육시설이 이곳에 자리했기 때문이었다.
1946년에 이우철 시몬 신부가 다섯 명의 아이들을 데리고, 당시 주소로는 경기도 시흥군 신동면 잠실리 13-59에 해당하는 신반포 성심 24차 아파트 자리에 정착했다. 그 후 미8군의 원조를 받아 건물을 신축했고, 1973년 항공사진을 보면 당시로부터 수년 전에 완공된 경부고속도로 서북쪽에 펼쳐진 논밭 한가운데 사각형의 성심원 건물과 부속시설들이 확인된다.
1976년, 서울시는 이 지역에 아파트 단지를 건설하는 도시계획을 세웠고, 1983년에는 사회복지 육아시설을 지방으로 이전하는 정부 정책이 확정되었다. 영등포 동쪽 지역이라고 해서 영동이라 불리던 오늘날의 강남을 개발하는 도시계획에서, 성심원과 같은 기관은 계획 실시에 지장을 초래하는 존재로 간주되었던 듯 하다. 그리하여 성심원은 1984년에 오늘날의 용인시 수지구로 옮겨오게 되었다.
![성심원 (1973년 항공사진)](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2/04/SSI_20181204142144_O2.jpg)
![성심원 (1973년 항공사진)](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2/04/SSI_20181204142144.jpg)
성심원 (1973년 항공사진)
![신반포 성심24차아파트 (2015년 8월 다음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2/04/SSI_20181204142310_O2.jpg)
![신반포 성심24차아파트 (2015년 8월 다음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2/04/SSI_20181204142310.jpg)
신반포 성심24차아파트 (2015년 8월 다음맵)
![용인 수지 성심원 (2018. 8. 4)](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2/04/SSI_20181204142229_O2.jpg)
![용인 수지 성심원 (2018. 8. 4)](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2/04/SSI_20181204142229.jpg)
용인 수지 성심원 (2018. 8. 4)
글 사진: 김시덕 서울대 규장각 교수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