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 130㎝·10세 내외의 신라 공주, 장신구로 ‘꽃단장’

키 130㎝·10세 내외의 신라 공주, 장신구로 ‘꽃단장’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3-07-05 00:52
수정 2023-07-05 00: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주 쪽샘 44호분 유물 공개

비단벌레 날개로 장식된 말다래
5㎝ 다발은 머리카락으로 확인
2014년부터 발굴… 780점 출토

이미지 확대
4일 경북 경주에서 공개된 쪽샘 44호분 전경. 이 무덤은 지난달 1350일간의 발굴조사를 마쳤다. 경주 류재민 기자
4일 경북 경주에서 공개된 쪽샘 44호분 전경. 이 무덤은 지난달 1350일간의 발굴조사를 마쳤다.
경주 류재민 기자
약 1500년 전 세상을 떠난 신라 공주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곳에서 비단벌레 날개 장식으로 꾸민 말다래와 무덤 주인의 것으로 여겨지는 머리카락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4일 경북 경주 서라벌문화회관에서 쪽샘 44호분 발굴 성과를 공개했다. 쪽샘 유적은 4~6세기 신라 왕족과 귀족이 묻힌 무덤으로 2007년부터 조사가 이뤄졌다. 44호분의 경우 2014년 5월부터 정밀 발굴조사에 나서 지난달 1350일간의 대장정을 마쳤다. 조사 결과 총 780점의 유물이 출토됐다.
이미지 확대
2020년 여러 작은 조각으로 출토된 유물들은 분석을 통해 비단벌레 장식 말다래에 사용된 것으로 파악됐다. 문화재청 제공
2020년 여러 작은 조각으로 출토된 유물들은 분석을 통해 비단벌레 장식 말다래에 사용된 것으로 파악됐다.
문화재청 제공
비단벌레 날개 가장자리에 금동 테두리를 단 장식품은 2020년 발굴조사 당시 주인공의 머리맡에 마련된 부장 공간에서 수백점이 나왔다. 정확한 용도를 모르다가 오랜 분석 끝에 비단벌레 날개로 장식한 말다래(말 탄 사람 다리에 흙이 튀지 않도록 안장 밑에 늘어뜨리는 판)로 확인됐다.

이날 발굴단 복장을 하고 나선 최응천 문화재청장은 “비단벌레 딱지날개를 이용한 유물들은 황남대총, 금관총 등 신라 고분 가운데서도 최고 등급의 무덤에서만 확인되고 있다”면서 “지금까지 말다래는 천마총, 금령총, 금관총에서 나왔는데 모두 천마도가 중심이 됐다. 44호분 말다래는 처음 확인된 형식”이라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무덤에서 나온 금동신발로 무덤 주인이 열 살 전후의 신분 높은 소녀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문화재청 제공
무덤에서 나온 금동신발로 무덤 주인이 열 살 전후의 신분 높은 소녀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문화재청 제공
금동관 주변에서 나온 5㎝ 폭의 유기물 다발은 정밀 분석 결과 사람의 머리카락인 것으로 파악됐다. 정인태 학예연구사는 “동물과 사람의 머리카락은 완전히 다르다. 44호분은 사람 모발로 판단하고 있다”면서 “실물 자료로 이렇게 나오는 것은 처음이라 굉장한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금동관에서는 세 가지 색실을 사용한 직물인 삼색경금(三色經錦)도 확인됐다. 금동 신발에서는 산양 털로 만든 모직물 성분도 나왔다. 삼국시대 …직물 자료로는 처음 발굴된 것이라 직물 연구사에도 중요한 유물로 평가받고 있다.
이미지 확대
무덤에서 나온 금 귀걸이로 무덤 주인이 열 살 전후의 신분 높은 소녀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문화재청 제공
무덤에서 나온 금 귀걸이로 무덤 주인이 열 살 전후의 신분 높은 소녀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문화재청 제공
무덤의 주인은 키 130㎝ 정도, 10세 내외의 신라 최상위 계층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유물들도 대부분 주인의 신장에 맞게 아기자기한 것이 특징이다. 연구소는 보존 처리를 마친 유물을 오는 12일까지 발굴관에서 관람객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2023-07-05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