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만점자가 설명하는 미래의 꿈](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12/07/SSC_20241207123444_O2.jpg.webp)
![수능 만점자가 설명하는 미래의 꿈](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12/07/SSC_20241207123444_O2.jpg.webp)
수능 만점자가 설명하는 미래의 꿈
2025학년도 수학능력시험에서 만점을 받은 서장협 군이 5일 오후 자신이 3년간 공부했던 서울 광진구 광남고에서 연합뉴스와 가진 인터뷰 도중 대학 전공와 미래의 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024.12.5 연합뉴스
![2025학년도 수능 만점자 서장협(오른쪽)군이 공학 동아리에서 활동하는 모습.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12/07/SSC_20241207123507_O2.jpg.webp)
![2025학년도 수능 만점자 서장협(오른쪽)군이 공학 동아리에서 활동하는 모습.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12/07/SSC_20241207123507_O2.jpg.webp)
2025학년도 수능 만점자 서장협(오른쪽)군이 공학 동아리에서 활동하는 모습. 연합뉴스
“해야 할 것을 제때 하고, 제때 푹 자고…. 엄청 특별한 건 없는 것 같아요.”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만점자가 11명 나오며 최근 5년간 최다 기록을 세웠다. 지난해 단 1명의 만점자에 그쳤던 것과 비교해 난이도가 다소 완화됐다는 평가다.
이번 수능은 의대증원 여파로 N수생이 폭증해 재학생들에 불리했던 해였다. 수능 만점자는 총 11명이 나왔는데, 재학생 만점자는 4명 뿐이다.
그중 서울 광진구 광남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 서장협(18)군은 재학생 만점자로 주목받고 있다. 그는 가채점표에 일부 답안을 잘못 적어 만점을 확신하지 못했다며 “만점이라는 말을 들었을 때 얼떨떨하면서도 기분이 좋았다”고 말했다.
서장협 군은 만점 비결에 대해 “해야 할 것을 제때 하고 충분히 잠을 자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별하지 않아 더 특별한 비결을 밝혔다. 그는 “‘4시간 자면 합격, 5시간 자면 불합격’이라는 ‘4당5락’은 말도 안 된다”며 친구들에게도 충분히 자라고 조언했다고 덧붙였다.
사교육을 받긴 했지만, 학교에서의 경험들이 학업에 큰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그는 “친구들과 직접 수학 문제를 만들었던 시간, 멘토·멘티 프로그램에서 물리를 가르쳤던 경험이 개념을 확립하는 데 크게 작용했다”고 말했다.
서장협군은 친구들에게 ‘교수님’이라 불릴 정도로 질문을 잘 받아줘서 쉬는 시간마다 친구들이 줄을 설 정도였다.
의대 진학이 가능한 점수임에도 서군의 선택은 서울대와 연세대 컴퓨터공학부였다. 그는 “어릴 때부터 게임을 좋아하고, 게임 속에서 논리 회로와 전자 설계에 흥미를 느끼며 컴퓨터공학의 길을 걷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서군은 “내가 가장 잘할 수 있는 분야라고 생각했고, 사회에 도움이 되는 기술을 개발하고 싶다”라며 “대학에서 비슷한 관심사를 가진 친구들을 만날 것이 가장 기대된다”고 말했다.
![2019년도 수능에서 만점을 받은 선덕고 출신의 김지명씨. tvN ‘유퀴즈 온 더 블럭’](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12/07/SSC_20241207123510_O2.png.webp)
![2019년도 수능에서 만점을 받은 선덕고 출신의 김지명씨. tvN ‘유퀴즈 온 더 블럭’](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12/07/SSC_20241207123510_O2.png.webp)
2019년도 수능에서 만점을 받은 선덕고 출신의 김지명씨. tvN ‘유퀴즈 온 더 블럭’
역대 만점자들의 반전 스토리수능 만점자들의 근황은 매년 대중의 관심을 끌어왔다. 1999학년도 수능 첫 만점자 오승은씨는 서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한 뒤 MIT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미국 UC 샌디에이고 물리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당시 그는 “HOT가 뭐죠?”라는 발언으로 세간의 화제가 됐다.
2019학년도에는 선덕고 김지명씨가 백혈병 투병을 극복하고 서울대 의예과에 진학했다. 12살 때 급성임파구백혈병을 진단받아 중학교에 다니는 내내 항암치료를 받았던 김씨는 고등학교 1학년 때 완치 판정을 받았고, 수능 만점을 받아 서울대 의예과에 수석 합격했다. 그는 “투병 중 혼자 공부하며 혼자 공부하는 습관을 만들려 애를 썼고, 자신만의 학습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2020학년도에는 김해외고 송영준씨가 반 편성고사에서 126등을 기록한 ‘꼴찌’에서 수능 만점자로 대반전을 이뤘다. 그는 “교과서 중심으로 공부하고, 모르는 건 선생님께 끊임없이 질문하며 실력을 쌓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