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협 오늘, 출판인회의 내일 회장 뽑아
언제부터였을까. ‘출판’이라는 말은 해묵은 구태(舊態)의 대표선수가 돼 버린 듯하다. 숨가쁘게 변해 가는 커뮤니케이션 기술은 전자책, 아이패드, 스마트폰 앱 등 낯선 용어를 뿜어내며 ‘출판계’를 더욱 주눅들게 하고 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2/22/SSI_20110222024031.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2/22/SSI_20110222024031.jpg)
갈수록 거세지는 전자책의 위협을 종이책이 맞받아칠 수 있을지, 바뀐 세상에 맞는 새로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을지 시험대 성격이 짙다. 새 수장에 출판계 안팎의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도서납본제 등 출협 운영 방식, 서울국제도서전 운영, 도서정가제, 책 사재기 등 누적된 갈등과 관련해서도 한목소리를 낼 수 있을지 관심이다.
서울 여의도 연금사학회관에서 치러지는 출협 회장 선거에는 윤형두(왼쪽·75) 범우사 회장과 최병식(가운데·60) 주류성출판사 대표가 출사표를 던진 상태다. 투표권자 451명 중 투표에 참가한 유효투표자 가운데 과반수를 얻은 후보가 당선된다. 과반을 확보하지 못하면 2차 투표에 들어가 최다득표자가 회장이 된다.
윤 후보는 한국출판학회장과 한국출판협동조합 이사장 등을 지냈다. 출판과 출판인의 위상 높이기 등을 핵심공약으로 걸었다. 출협 정책담당 상무이사를 거친 최 후보는 전자책 시대를 맞아 출판의 전통과 변화를 모두 구현하고, 도서정가제 실현 등을 내세웠다.
450개 단행본 출판사 대표로 구성된 한국출판인회의는 서울 서교동 한국출판인회의회관에서 정기총회를 연다. 현 회장이 차기 회장을 추대하면 회원사들의 찬반 투표를 거쳐 확정하는 방식이다.
관행에 따라 차기 회장으로 추대된 고영은(오른쪽·54) 뜨인돌출판사 대표가 새 회장으로 추인될 예정이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1-02-22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