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이육사 원고·지청천 일기·광양 구 진월면사무소 등록예고
![이육사 시 ‘바다의 마음’ 친필원고](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0/01/SSI_20181001111005_O2.jpg)
![이육사 시 ‘바다의 마음’ 친필원고](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0/01/SSI_20181001111005.jpg)
이육사 시 ‘바다의 마음’ 친필원고
문화재청이 1일 문화재 등록 예고한 일제강점기 저항시인 이육사(본명 이원록?1904∼1944)의 시 ‘바다의 마음’ 친필 원고. 이육사 친필 시 원고는 문학사적 중요성을 고려하면 극히 희귀한 편으로, 지난 5월 문화재로 등록된 ‘편복’(등록문화재 제713호) 외에는 3행 3연으로 구성된 ‘바다의 마음’이 유일한 것으로 보인다고 문화재청은 설명했다. 2018.10.1 문화재청 제공=연합뉴스
일제강점기 저항시인 이육사(본명 이원록·1904∼1944) 친필 시 원고 ‘바다의 마음’이 문화재가 된다.
문화재청은 1일 이육사 친필원고와 항일독립 문화유산인 ‘지청천 일기’, 1950년대 건립된 ‘광양 구 진월면사무소’ 등 3건을 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
이육사 친필 시 원고는 문학사적 중요성을 고려하면 극히 희귀한 편이다.
지난 5월 문화재로 등록된 ‘편복’(등록문화재 제713호) 외에는 3행 3연으로 구성된 ‘바다의 마음’이 유일한 것으로 보인다는 게 문화재청 설명이다.
‘편복’은 일제강점기 우리 민족 현실을 동굴에 매달려 살아가는 박쥐에 빗댄 작품으로 당시에는 사전 검열에 걸려 발표되지 못했다.
‘지청천 일기’는 독립운동가이자 정치가인 지청천(池靑天, 1888∼1957)이 1951∼1956년 기록한 국한문 혼용의 친필일기 5책이다.
지청천은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만주로 망명, 광복군 총사령관으로 활동했으며 환국 후 제헌 국회의원 등을 역임했다.
1919년부터 일기를 썼으나 한국전쟁 당시 분실된 것으로 알려지며, 이번에 등록 예고된 일기는 1951년부터 다시 쓴 것이다.
문화재청은 “항일무장투쟁을 이끈 독립운동가 의식이 담긴 친필원고라는 점과 한국 현대정치사 연구 사료로서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설명했다.
‘광양 구 진월면사무소’는 1950년대 건립된 관공서 건물로 지붕의 목조트러스 구조가 원형을 잘 유지하고, 주 출입구 부분을 조형적으로 처리한 독특한 입면 구성을 보이는 등 지역 대표 근현대건축 유산으로서 보존 가치가 충분하다고 평가됐다.
문화재청은 3건에 대해 30일간의 등록 예고 기간 중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등록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