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안양, 지금 그곳에선… 아주 작은 도전

오산·안양, 지금 그곳에선… 아주 작은 도전

입력 2014-03-25 00:00
업데이트 2014-03-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공미술 실험 무대·전시

이성실(56) 작가는 국내 최고령 창작스튜디오 입주 작가다. 홍익대 서양화과 졸업 뒤 미국 시카고 아트인스티튜트와 펜실베이니아 대학원에서 페인팅과 믹스트 미디어를 공부했다. 종이나 캔버스에 먹으로 그린, 지네의 춤을 연상시키는 작품으로 화단의 관심을 끌었고 서울과 베이징, 오사카, 시카고, 부에노스아이레스 등에서 전시회를 열었다. 하지만 여지껏 널리 이름을 알리진 못했다. 작가는 “10여년 넘게 미국에 체류하는 동안 막일 등 안 해 본 것이 없을 정도”라고 털어놨다.
이미지 확대
이성실 ‘heaven between’
이성실 ‘heaven between’
이미지 확대
안양 파빌리온
안양 파빌리온


작가는 다음 달 27일까지 50일 넘게 이어지는 ‘문화공장 오산’의 ‘뜻밖의 풍경’전에서 김동기·김종구·노주환·박철호 등 다른 8명의 작가와 전시회를 이어 간다. 문화공장 오산은 20여만명의 인구가 거주하는 오산의 시립미술관 이름이다. 작가는 문화공장 오산의 창작스튜디오에 입주해 올가을까지 미술에만 전념하도록 지원도 받고 있다. 자그마한 위성도시로만 기억되던 오산에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2012년 9월 시립미술관인 문화공장 오산이 들어서면서 변화는 시작됐다. 오산문화재단이 운영하는 이 미술관은 평균 연령 33.2세로 경기 지역에서 가장 젊은 도시인 오산의 특성을 살렸다. 76억원을 들여 4000여㎡에 지은 미술관에선 어린이들을 위한 미술 체험교육이 막을 올렸고, 이어 ‘토요문화학교’ ‘미디어아트전’ 등 기획전이 마련됐다.

기획전인 ‘뜻밖의 풍경’전도 개관 2년이 안 돼 지역 명소로 탈바꿈한 문화공장 오산의 작품이다. ‘서울-남한강’의 작가 노주환은 금속활자를 발명한 선조들의 창의적 우수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 또 자연의 속살을 표현한 박철호, 흙과 자연으로의 복귀를 주장한 김종구 등의 작품이 눈길을 끈다. 오산문화재단 측은 “앞으로도 오산이란 지역만이 창조할 수 있는 다양한 전시를 마련하겠다”는 각오다.

2005년 시작해 1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APAP)도 28일 제4회 APAP를 개막한다. 6월 8일까지 60여일간의 대장정을 이어 가는 행사에선 포르투갈 출신의 세계적 건축가인 알바로 시자가 설계한 ‘안양파빌리온’이 구심점 역할을 한다. 국내 처음으로 문을 연 공공예술 전문도서관과 디지털아카이브 등을 갖추고 있다. 안양문화예술재단에선 투어 프로그램 등을 운영해 공공예술의 성공 가능성을 꾸준히 타진해 왔다. 관객들과 함께 공유하려는 접근법이 강점이다.

이번 행사는 ‘김중업 박물관’ 개관과 함께 시작된다. 국내 대표 건축가인 김중업(1922~1988)이 설계한 옛 유유산업 공장을 재단 측이 인수해 리모델링한 공간이다. 전시는 안양예술공원 일대에서 ‘퍼블릭 스토리’란 주제로 국내외 작가 27개 팀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다. ‘안개 조각가’인 일본의 후지코 나카야가(81)는 1000년 전 안양사(安養寺) 터에서 안개로 연출되는 작품을 선보인다. 앤서니 매콜(영국), 그라이즈데일 아츠(영국) 등이 지역·역사를 접목해 다양한 퍼포먼스와 영상 등을 내놓는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3-25 1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