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유럽 클래식 무대는] 게반트하우스와 밤베르크 홀

[지금 유럽 클래식 무대는] 게반트하우스와 밤베르크 홀

입력 2014-03-25 00:00
업데이트 2014-03-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콘서트 홀은 오케스트라의 악기 개성 갖기 위해선 전용 홀 도입을

한 오케스트라의 고유한 사운드라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관념 혹은 이미지에 의해 만들어진 것일 뿐이지 오케스트라의 특정한 사운드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전 세계의 많은 청중은 자신이 선호하는 그 악단만의 사운드에 매료되곤 한다. 결국 한 악단의 개성이라고 말할 수 있는 사운드는 다양한 조건들에 의해 결정되는 상대적인 개념이지만, 그 요소들을 결정하는 절대적인 기준은 바로 오케스트라의 악기라고 말할 수 있는 콘서트 홀이다.
이미지 확대


지난달 28일 독일 라이프치히의 아우구스투스 광장에 1981년 새로 지어진 신 게반트하우스에서 리카르도 샤이가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를 이끌고 말러 교향곡 7번을 연주했다. 2011년 세종문화회관에서 접했던 이들의 사운드와는 전혀 다른 게반트하우스 사운드의 독창성을 극명하게 경험할 수 있었는데, 이 홀의 음향은 처음 들으면 당혹스러울 수도 있을 정도로 그 소리가 투명하고 구분력이 높되 직접적이고 광활하다. 고전적인 레퍼토리에 최적화된 환경이지만 100여명에 가까운 인원이 요구되는 말러 교향곡 7번에서도 악단의 사운드와 디테일이 고스란히 전달돼 감동을 안겼다. 특히 샤이는 특유의 빠른 템포와 리드미컬한 진행을 구사했는데, 마지막 5악장에서는 극대화된 대비와 엄청난 다이내믹, 팀파니와 금관군의 막강한 화력으로 오케스트라 음악의 황홀경이 무엇인가를 보여 주었다.

한편 지난 1일 밤베르크의 레크니츠 강변에 있는 콘서트와 콘그레스 홀에서는 만프레드 호네크가 지휘하는 밤베르크 심포니의 연주회가 열렸다. 1993년 새로 문을 연 뒤 2009년 리노베이션을 마친 이 홀은 자연과 어우러지는 아름다운 외관과 훌륭한 어쿠스틱을 자랑하는 만큼,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밤베르크 심포니의 저력을 가능케 한 원동력이라고 말할 수 있다.

니콜라이의 ‘윈저의 즐거운 아낙네’ 서곡과 틸 펠너의 협연으로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5번, 베토벤 교향곡 6번을 연주했는데, 마에스트로의 자연스럽고 치밀한 지휘에 힘입어 밤베르크 심포니는 소박한 듯 유려한 고유의 음향을 선사해 줬다. 2012년 11월 1일 일본 도쿄 산토리 홀에서 헤르베르트 블롬슈테트의 지휘로 밤베르크 심포니의 베토벤 교향곡 3번과 7번을 들었을 때와 비교하면 그 사운드의 질감과 음색은 천양지판으로 달랐다.

오케스트라의 개성은 전용 홀의 환경에 의해 정해지고 이에 따라 악단의 음악적 완성도가 결정되기 마련이다. 한국의 수많은 오케스트라도 변별성 있는 개성과 독자적인 전통을 가진 악단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마음대로 리허설을 하고 빈번하게 연주를 할 수 있는 전용 콘서트 홀이 반드시 필요하다.

박제성 음악 칼럼니스트
2014-03-25 1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