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보물창고 ‘오대산사고’… 추사의 흔적 오롯이

국가 보물창고 ‘오대산사고’… 추사의 흔적 오롯이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5-05-01 00:10
수정 2025-05-01 06: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실록박물관 새 단장 기념 첫 특별전

이미지 확대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귀신이 문 걸어 출입 금하고 서적은 구름처럼 쌓여 있네. 관리들 수레 동으로 행차하니 포쇄하라 왕께서 명하였기 때문. 귀한 책 차례로 열람하니 밝은 햇빛 종일 숲 비추네.” (번암 채제공의 ‘사각에서 포쇄하다’ 중에서)

30일 강원 평창군 진부면. ‘신선의 산’이라 불리는 오대산 입구에 들어서면 금강연의 절경과 마주한다. 수백년 전 오대산 사고를 다녀간 사람들이 글과 그림으로 찬미했던 그 연못이다. 찰나가 아쉬운 듯 주변 너럭바위에는 그들의 이름자가 새겨 있다.

사고는 국가의 중요한 도서를 보관하는 일종의 서고인데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 의궤’ 등이 대표적인 보관물이었다. 임진왜란 이후 전국 사고가 소실되자 기록이 가진 힘을 중시했던 조선은 한양의 춘추관 사고 외에 오대산, 정족산, 태백산, 적상산에 왕실의 기록물을 나눠 보관했다.

월정사를 뒤로 두고 4㎞가량 가파른 길을 올라야 비로소 오대산 사고가 모습을 드러낸다. 화재를 피하고자 돌담으로 둘러싸인 2층 건물 두 채는 앞뒤로 배치돼 있다. 현재는 텅 비어 있지만, 과거에는 태조부터 명종까지 실록을 다시 제작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교정본 실록이 봉안됐고 이후 정본 실록이 차례로 보관됐다.

사고가 산속 깊은 곳에 자리하게 되면서 습기에 약한 서적의 관리를 위해 2년에 한 번씩 책을 꺼내 바람에 말리는 ‘포쇄’가 시행됐다. 포쇄를 위해 중앙에서 파견된 사관들은 이를 영예롭게 여겨 공식 기록 외에도 시문이나 암각문 등의 자취를 남겼다. 채제공, 추사 김정희와 같은 명사들도 젊은 시절 포쇄를 위해 오대산 사고에 다녀간 뒤 기록을 남겼다.

5월 1일 오대산 사고의 현대판인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이 오대산 자락에서 전면 개관한다. 일제강점기 일본으로 반출되는 아픔을 겪었다가 110여년 만에 환수된 오대산 사고본(本) 조선왕조실록과 의궤를 만날 수 있는 전문 박물관이 온전히 열리는 것이다.

앞서 실록박물관은 2023년 11월 상설 전시실만 개관해 실록과 의궤를 선보였지만 8개월 만인 지난해 7월 전시·교육·영상 콘텐츠와 어린이를 위한 체험 공간 등을 조성하기 위해 휴관에 돌입했다.

휴관 동안 어린이박물관, 영상실 등이 새로 조성됐다. 특별전시실에서는 7월 13일까지 ‘오대산사고 가는 길’ 전시를 통해 사고의 설립과 운영, 쇠퇴의 역사를 조명하는 40여점의 유물을 선보인다. 특히 김정희가 포쇄 이후 강릉 오죽헌에서 ‘심헌록’이라는 방명록에 이름을 남겼는데 이번 전시에서 최초 공개된다.

전면 개관이지만 오대산 사고본 실록 대부분을 여전히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 두고 있는 것은 한계로 지적된다. 김정임 실록박물관장은 “보존 연구동을 새로 지어 화재에도 문제가 없도록 그 지하에 수장고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2025-05-01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