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간 ‘이것’ 男 줄고, 女 늘고…담배 안 피워도 걸린다는데

40년간 ‘이것’ 男 줄고, 女 늘고…담배 안 피워도 걸린다는데

김성은 기자
김성은 기자
입력 2025-02-09 08:00
수정 2025-02-09 08: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 세계 비흡연자 폐암 발병 증가 추세

이미지 확대
담배 이미지. 픽사베이
담배 이미지. 픽사베이


전 세계적으로 담배를 피우지 않는 사람들의 폐암 발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가 의학 저널 ‘란셋’에 최근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비흡연자 폐암은 현재 전 세계 암 사망 원인 중 5위를 차지하고 있다.

연구진은 2022년 기준 약 20만 건의 폐암 사례가 대기오염 노출과 관련이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동아시아, 그중에서도 중국에서 대기오염으로 인한 폐 선암(腺癌) 발병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를 주도한 프레디 브레이 IARC 암 감시부서장은 “영국과 미국의 사례를 보면 흡연율이 감소함에 따라 오히려 비흡연자 중 폐암 진단을 받는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전 세계적으로 대기오염으로 인한 선암 비율의 증가 여부는 향후 담배 사용과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한 정책의 성공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폐암은 2022년 한 해에만 약 250만명이 진단받을 정도로 전 세계 암 발생률과 사망률의 주요 원인이다.

주목할 만한 점은 최근 수십 년간 폐암의 유형별 발생 패턴이 크게 변화했다는 것이다.

IARC 연구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선암은 남성 폐암의 45.6%, 여성 폐암의 59.7%를 차지했다. 이는 2020년의 39.0%(남성)와 57.0%(여성)에서 증가한 수치다.

특히 비흡연자의 경우 폐암 발병의 70%가 선암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보면 지난 40년간 남성의 폐암 발생률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감소한 반면, 여성의 발생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2022년 기준 전체 폐암 환자 중 남성이 약 160만명으로 여전히 다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여성 환자도 약 90만명에 달해 남녀 간 격차가 좁혀지는 추세다.

IARC는 담배 제조 방식과 흡연 패턴의 변화가 폐암 유형별 발생률 추세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또한 대기오염과 선암 위험 증가 사이의 인과 관계를 뒷받침하는 증거도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브레이 박사는 “이번 연구는 폐암과 그 위험 요인의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며 “흡연 패턴의 변화와 대기오염 노출이 현재 폐암 발생률 변화의 핵심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