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에 혹이 울퉁불퉁”…피부 질환 생긴 男, ‘이 옷’ 입어서라는데

“얼굴에 혹이 울퉁불퉁”…피부 질환 생긴 男, ‘이 옷’ 입어서라는데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25-05-01 13:32
수정 2025-05-01 13: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중고 매장에서 산 옷을 세탁하지 않고 착용해 ‘전염성 연속종’에 걸렸다고 주장한 틱톡커. 틱톡 캡처
중고 매장에서 산 옷을 세탁하지 않고 착용해 ‘전염성 연속종’에 걸렸다고 주장한 틱톡커. 틱톡 캡처


인도네시아 남성이 세탁하지 않고 입은 중고 옷 때문에 피부 감염에 걸린 사연이 전해졌다.

지난 30일(현지시간) 데일리메일과 뉴욕포스트 등에 따르면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한 인도네시아 남성 틱톡커는 틱톡을 통해 중고 의류를 세탁하지 않고 착용했다가 ‘전염성 연속종’(물사마귀)에 걸렸다고 주장했다. 그가 올린 영상을 보면 그의 얼굴에는 크고 작은 혹이 군데군데 나 있다.

전염성 연속종은 피부에 작은 혹이 생기는 바이러스 감염성 피부 질환으로 피부 접촉이나 성적 접촉, 수건이나 옷 등 오염된 물건을 통해 전염된다. 손바닥과 발바닥을 제외한 전신의 피부에 생길 수 있으며 대개 별다른 증상이 없으나 가려워서 긁을 경우 자가 접종을 통해 다른 부위의 피부로 전염될 수 있다. 대부분 자연 치유되지만 6개월에서 2년까지 증상이 지속되기도 한다.

지난해 8월 피부가 감염된 이후 자기 피부 상태를 기록해온 이 틱톡커는 더러운 중고품 가게에서 산 옷에서 감염이 비롯됐다고 주장하며 중고 옷 쇼핑을 할 때 주의하라고 강조했다.

틱톡커의 주장이 사실인지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가운데 전문가들은 피부 감염을 피하기 위해서는 중고 옷을 입기 전 세탁을 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이미지 확대
자료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자료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영국 레스터대학교 임상미생물학 강사인 프림로즈 프리스톤 박사는 중고 의류에는 세균이 가득하다며 세탁하지 않은 중고 옷에는 이전 착용자가 남긴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가 있을 수 있다고 했다.

그는 “병원균은 세탁하지 않은 옷감에 달라붙어 그 옷을 입는 사람을 감염시킬 수 있다”며 “중고로 구매한 옷을 입을 생각에 설레더라도 먼저 제대로 소독하는 게 중요하다. 옷은 실제로 많은 전염병 저장소”라고 했다. 특히 프리스톤 박사는 중고 옷을 다른 세탁물과 함께 넣지 말고 분리해서 세탁하라고 강조했다.

새로 산 옷 역시 입기 전에 세탁하는 것이 좋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미국 코넬대학교에서 섬유 과학을 가르치는 프랜시스 코젠 강사는 “옷은 (생산 과정에서) 표백되거나 섬유 유연제, 얼룩 방지, 발수 코팅, 곰팡이 방지제 같은 제품으로 처리된다. 특히 어두운색의 옷은 과도한 염료를 포함하고 있다”며 “이러한 처리 과정에서 남은 잔류 화학 물질이 직물에 남아 있을 수 있고, 의류 라벨에는 생산시 사용된 화학 물질이나 염료 종류가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서는 세탁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