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2012 신춘문예] 평론 심사평

[서울신문 2012 신춘문예] 평론 심사평

입력 2012-01-03 00:00
업데이트 2012-01-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패기와 문제의식으로 무장… 예사롭지 않은 글솜씨

올해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 부문 응모작은 예년에 비해 편수가 늘어나고 작품의 수준도 크게 향상되어 보였다. 그동안 몇몇 시인 및 작가의 논의에 집중되었던 관행도 바뀌어 대상 텍스트의 범위가 더 넓고 다양해졌으며, 그 접근 방식에 있어서도 개성 있는 시각이 눈에 띄었다. 그러나 의욕적인 시도에 비해 전체를 아우르는 결론의 도출이나 대상 작가를 경유한 비평적 감식안의 깊이에는 이르지 못한 느낌이었다.
이미지 확대
심사위원 황현산(문학평론가·왼쪽), 김종회(문학평론가)
심사위원 황현산(문학평론가·왼쪽), 김종회(문학평론가)


마지막까지 남은 후보작 가운데 이녘의 ‘증식하는 글쓰기, 글쓰기의 미로’는 최제훈의 최근 소설 ‘일곱 개의 고양이 눈’에 나타난 미스테리적 매혹을 ‘미로의 글쓰기’로 푼 글이다. 소설의 서사 미학적 특징과 한계를 매우 주밀하게 읽어내면서 현대적 글쓰기 최전선의 징후를 잘 포착하고 있다. 하지만 보르헤스가 말한 미로의 글쓰기와 도서관의 은유에 과도하게 논의를 기댄 점, 동시대 소설의 징후와 더불어 최제훈의 글쓰기를 의미화하지 못한 점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당선작으로 결정된 이강진의 ‘종언의 시대를 살아가기 : 시와 정치는 무엇이었는가’는 신인다운 패기와 문제의식으로 메타비평에 접근하고 있는 글이다. 논쟁을 따라가거나 주장에 끌려가지 않고 나름의 시각으로 논지를 정리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는 솜씨가 예사롭지 않았다. 하지만 이미 논쟁이 되었던 문제는 예각을 드러내기 쉬운 지점일 수 있다. 날카로운 문제의식을 드러낼 수는 있으나 탄탄한 분석력을 검증받지 못한다는 약점이 있다. 이 글은 그 점을 무난히 극복했다.

당선자에게 아낌없는 축하를 보내며 아깝게 탈락한 분들에게는 따뜻한 격려와 함께 다음 기회의 분발을 기대한다.



2012-01-03 4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