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K뮤지컬컴퍼니 엄홍현 대표, 공연계 상황 토로
“객석 점유율 제한으로 띄어 앉기 완화해주길”

EMK뮤지컬컴퍼니 제공
엄홍현 EMK뮤지컬컴퍼니 대표.
EMK뮤지컬컴퍼니 제공
EMK뮤지컬컴퍼니 제공
사실상 ‘셧다운’ 된 공연계를 이야기하던 엄홍현 EMK뮤지컬컴퍼니 대표가 울컥하며 말을 잇지 못했다. 지난해 12월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로 두 자리 띄어 앉기가 의무화되면서 대형 뮤지컬들이 공연을 중단한 지도 한 달이 훌쩍 넘었다. 지난해 ‘레베카’, ‘웃는 남자’, ‘모차르트!’ 등 코로나19 한 가운데서도 꿋꿋이 대작을 올렸던 EMK도 ‘몬테크리스토’ 공연을 못 하고 있다.
최근 한국뮤지컬제작자협회는 성명을 내 “단순히 공연계의 위기를 넘어 뮤지컬 시장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며 “좀 더 현실적인 방역지침을 고려해 달라”고 촉구했다. 엄 대표도 성명에 이름을 올렸다.
14일 전화로 만난 엄 대표는 “좌석 띄어 앉기 대신 객석 점유율을 제한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했다. 관객들은 보통 두세 명이 모여 공연 전에 식당이나 카페에서 허기를 채우고 공연장에 온다. 이들이 떨어져 있는 시간은 공연을 보는 2~3시간 남짓. 내내 함께 있던 일행을 공연장에서 떨어뜨린다고 방역에 도움이 되느냐는 거다.
거리두기가 1단계였던 때에도 공연장 감염 사례가 없었던 건, 좌석 띄어앉기가 아니라 철저한 소독과 QR코드 확인, 마스크 착용과 불필요한 접촉 제한 같은 방역 수칙이 더 효과적이라는 게 제작자들이 지난 1년간 현장에서 얻은 결론이다.
엄 대표는 “좌석 띄어 앉기로는 막대한 손해가 눈에 뻔히 보이니 투자자들도 투자 자체를 꺼리고 있다”고 털어놨다. 팬데믹이라는 엄중한 상황이 있으니 공연 규제를 완전히 풀자고 억지를 쓰는 게 아니다. 다만 “객석 점유율 최대 65% 제한’까지라도 허용해달라”고 주장했다. 점유율을 설정해놓고 그 안에서 안전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객석을 조정하는 방식이다. “어차피 65% 안에서도 객석이 다 차지 않으니 대형 뮤지컬 손익 분기점(70%)에 못 미쳐 손해를 보는 건 마찬가지”라면서도 “그래도 모두에게 ‘무대가 멈추지 않는다’는 믿음을 보여줄 수 있는 적정선”이라고 강조했다.

EMK뮤지컬컴퍼니 제공
뮤지컬 ‘팬텀’ 포스터.
EMK뮤지컬컴퍼니 제공
EMK뮤지컬컴퍼니 제공
엄 대표는 3월 개막하는 뮤지컬 ‘팬텀’ 대표 문구인 “세상이 무너진 이 순간, 너의 음악이 되리라”를 언급하며 다시 목이 메였다. “떠나간 이들이 다시 무대로 돌아올 수 있을지 걱정”이라는 그는 “엄중한 시기일수록 공연이 많은 사람들에게 위로와 즐거움을 주는 본연의 역할을 제대로 하고 싶다”고 힘겹게 말을 이었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