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작사 알앤디웍스 오훈식 대표의 ‘도전’
25일 서울 유니플렉스 1관서 초연 개막

알앤디웍스 제공
뮤지컬 ‘검은 사제들’ 제작사인 알앤디웍스 오훈식 대표.
알앤디웍스 제공
알앤디웍스 제공
그에게도 지난 한 해는 매우 혹독한 시간이었다. 10주년을 맞은 장수 창작 뮤지컬 ‘마마, 돈 크라이’ 기념 공연이 3월 취소됐고, 6월 재개막을 준비했다 그마저도 접었다. 2019년 한국뮤지컬어워즈 대상 등 7관왕을 차지한 뮤지컬 ‘HOPE(호프)’ 재연은 11월 두산아트센터 연강홀에서 문을 열었다 2주 만에 공연을 중단했다.

알앤디웍스 제공
뮤지컬 ‘검은 사제들’ 포스터.
알앤디웍스 제공
알앤디웍스 제공
“그런데도 ‘왜 지금 창작 뮤지컬이냐’고 묻는다면 ‘지금이니까’라고 답하겠다”고 했다. “공연을 업으로 하는 사람들에겐 모든 작업들이 그저 일상이고, 아무리 어려워도 그 일상을 지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배우와 스태프들에게 우리가 계획한 작품을 계속 한다는 믿음을 주는 게 프로듀서의 역할이기도 하고요. 공연이 멈추지 않고 계속 움직이며 도전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싶어요.”

알앤디웍스 제공
뮤지컬 ‘검은 사제들’에서 김신부 역을 맡은 이건명, 송용진, 박유덕(왼쪽부터).
알앤디웍스 제공
알앤디웍스 제공
강한 느낌의 전자음악이나 록을 배제하고 클래식한 느낌으로 성가 분위기를 전달하면서도 가요적인 음악을 적절하게 버무려 색다른 느낌을 줄 거라고도 예고했다. “구마 의식이나 다양한 장면들도 무겁지 않게 재미있는 요소들을 뽑아내 편안하게 보실 수 있고 듣는 재미와 보는 재미, 나중엔 감동까지 받을 수 있다”고도 덧붙였다. 모두가 궁금할 ‘구마 의식’ 장면도 공연에서만 즐길 수 있는 매력을 담아 재탄생한다.

알앤디웍스 제공
뮤지컬 ‘검은 사제들’에서 최부제를 연기하는 김경수, 김찬호, 조형균, 장지후(왼쪽부터).
알앤디웍스 제공
알앤디웍스 제공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