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키호테를 돈키호테답게 실컷 사랑하고 춤추게 했죠”

“돈키호테를 돈키호테답게 실컷 사랑하고 춤추게 했죠”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3-03-30 02:08
수정 2023-03-31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새달 무대 오르는 국립발레단 돈키호테 재안무 송정빈

마임만 하던 원작 캐릭터 변형
돈키호테 비중 높여 관객 유혹
무용수서 안무가로 발돋움 중
“연출이 흥미로워져 꿈도 생겨”
이미지 확대
소설 ‘돈키호테’는 오롯이 돈키호테의 이야기다. 그렇지만 발레 ‘돈키호테’는 바질과 키트리의 사랑 이야기다. 어딘가 모순적이다 보니 잘 모르는 사람이 보면 돈키호테의 이야기가 아닌 돈키호테는 뭔가 잘못된 게 아닐까 고개를 갸웃하게 된다.

“어릴 때부터 발레 돈키호테를 보면서 제목은 돈키호테인데 왜 주인공은 바질과 키트리일까 생각했어요. 발레 원작에서 돈키호테는 부수적인 존재이지만 돈키호테 캐릭터를 조금 더 입체적으로 표현하고 싶었습니다.”

오는 4월 12~16일 서울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선보이는 국립발레단의 돈키호테를 재안무한 송정빈(37)도 궁금증을 가졌던 사람 중 하나다. 최근 예술의전당 N스튜디오에서 만난 그는 “돈키호테가 원작에서는 마임만 하는 캐릭터인데 두 시간 동안 마임만 할 수 없어서 방법을 고민했다”면서 “꿈이라면 뭐든 이룰 수 있으니 2막의 드림신에서 젊게 해보자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송정빈이 재탄생시킨 돈키호테는 꿈에서나마 회춘해 사랑하는 사람과 마음껏 춤을 추고 존재감을 뽐내며 돈키호테를 진짜 돈키호테답게 만든다. 원작에서는 돈키호테의 환상 속 여인 둘시네아와 키트리를 한 명이 소화하지만, 국립발레단 돈키호테에서는 2명의 무용수가 각각 둘시네아와 키트리를 맡는다. 원작의 큰 흐름과 주요 장면은 그대로 유지하되 돈키호테의 비중을 높이고 개연성 있게 작품을 재구성해 관객들이 더 편하게 볼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재안무 작업은 강수진(56) 단장이 국립발레단만의 레퍼토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해 그간 추진해 온 창작 작업의 연속선상에 있다. 이번 돈키호테가 국립발레단의 오리지널 돈키호테인 셈이다. 이미 ‘해적’(2020) 재안무를 통해 안무가로서의 역량을 보여 준 송정빈이 다시 한번 신임을 받게 됐다.
이미지 확대
송정빈은 “우리만의 레퍼토리를 만들어야 한다는 단장님 생각에 공감했다”면서 “관객들이 기대하는 바도 있고 너무 바꾸지 않을까 우려하는 부분도 있어 선을 잘 유지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하루하루 창작의 고통이 컸지만 단원들과 적극 소통하며 함께 만들어 왔기에 힘을 낼 수 있었다. 특히 돈키호테는 송정빈이 학창 시절 김용걸(50)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와 김지영(45) 경희대 교수가 1998년 파리 국제 무용 콩쿠르에서 우승한 것을 보며 늘 동경해 왔던 터라 더 좋은 작품으로 만들고 싶은 책임감이 컸다.
이미지 확대
이번 돈키호테는 무용수에서 안무가로 발돋움해 가는 그의 커리어에서도 중요한 작품이다. 송정빈은 “연출적인 부분이 흥미롭고 재밌어서 이제는 꿈이 생기는 것 같다. 앞으로 기회가 어떻게 올지 모르지만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변 확대를 위해 보다 대중적인 발레 작품을 만드는 게 목표라는 그는 “돈키호테도 발레를 처음 보는 분들까지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만들었으니 편안하고 재밌게 봐 달라”고 했다.
2023-03-3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