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잔 콩쿠르 우승’ 발레리노 박윤재 금의환향
‘즐기자’ 생각으로 하니 좋은 성적“발레, 마음 즐겁게 만드는 데 탁월
자신만의 색깔·해석 중요함 배워”
유인촌 “반짝이는 행보 함께 응원”
![지난 8일(현지시간)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로잔 발레콩쿠르에서 깃털처럼 가볍게 날아오르며 춤추는 발레리노 박윤재의 모습. 로잔 EPA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12/SSC_20250212235558_O2.jpg.webp)
로잔 EPA 연합뉴스
![지난 8일(현지시간)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로잔 발레콩쿠르에서 깃털처럼 가볍게 날아오르며 춤추는 발레리노 박윤재의 모습. 로잔 EPA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12/SSC_20250212235558_O2.jpg.webp)
지난 8일(현지시간)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로잔 발레콩쿠르에서 깃털처럼 가볍게 날아오르며 춤추는 발레리노 박윤재의 모습.
로잔 EPA 연합뉴스
로잔 EPA 연합뉴스
“다리가 굵어서 ‘몸이 무거워 보인다’는 말을 많이 듣고 자랐습니다. 엄청난 콤플렉스였는데 로잔에 갔더니 제 다리가 오히려 예쁘다고 해 주시더라고요. 키가 크든 작든 모든 무용수에게는 저마다의 매력이 있는 거니까요. 중요한 건 관객 마음을 울릴 수 있는 ‘표현’이라는 걸 로잔에서 배운 것 같습니다.”
얼마 전 온 국민이 깜짝 놀랄 만한 낭보가 도착했다. 지난 8일(현지시간) 스위스 로잔 발레콩쿠르(프리 드 로잔)에서 발레리노 박윤재(16)가 한국 남자 무용수 최초로 우승을 차지했다는 소식이었다. 유인촌 문화체육부 장관은 12일 “사람의 마음을 울리는 멋진 예술가로 성장하길 바란다. 별처럼 반짝이는 행보를 국민들과 함께 응원하겠다”고 격려했다.
![지난 8일(현지시간)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로잔 발레콩쿠르에서 한국 남성 무용수 최초 우승이라는 타이틀을 거머쥐며 금의환향한 박윤재가 12일 서울 종로구 서울예술고등학교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모습.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12/SSC_20250212173931_O2.jpg.webp)
연합뉴스
![지난 8일(현지시간)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로잔 발레콩쿠르에서 한국 남성 무용수 최초 우승이라는 타이틀을 거머쥐며 금의환향한 박윤재가 12일 서울 종로구 서울예술고등학교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모습.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12/SSC_20250212173931_O2.jpg.webp)
지난 8일(현지시간)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로잔 발레콩쿠르에서 한국 남성 무용수 최초 우승이라는 타이틀을 거머쥐며 금의환향한 박윤재가 12일 서울 종로구 서울예술고등학교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모습.
연합뉴스
연합뉴스
박윤재가 재학 중인 서울예술고등학교도 이날 부랴부랴 기자간담회를 마련했다. 갑작스럽게 다가온 큰 영예와 관심에 어리둥절할 만도 한데 그에게 그런 기색은 전혀 느껴지지 않았다. 박윤재는 로잔에서 거둔 성과와 앞으로의 포부를 앳된 목소리로 또박또박, 그러면서도 담담하게 전했다.
“발레는 ‘살을 깎는 고통’을 견디는 일인 것 같아요. 엄격한 식단 관리뿐만 아니라 내 몸의 근육을 어떻게 해야 100% 사용할 수 있는지 머리로도 고민해야 하죠. 정신으로 몸의 한계를 이겨내야 하니까요. 근육을 풀기 위해 매일 1시간 이상 반신욕을 하거나 ‘폼 롤러’로 멍들 때까지 마사지해요. 로잔에서 반바지를 입어야 할 때가 있었는데, 다리에 멍이 너무 들어서 걱정했던 기억도 있네요.”
다섯살 때 발레를 시작했다고는 하지만 진지한 것은 아니었다고 한다. 누나를 따라 발레학원에 다녔고 놀이처럼 했다. 제대로 전공하겠다고 마음먹은 것은 초등학교 4학년 때였다. 당시 다니던 발레학원 원장의 권유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산하 한국예술영재원에 들어갔다. “살이 오동통하게 오른 아기였다”고 웃었다.
“중학교 3학년 때 한 콩쿠르에서 너무나도 큰 실수를 했고, 많이 자책했어요. 이번 로잔에서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었던 건 무대에서 ‘잘하자’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에요. 완벽해지려고 하면 반드시 실수가 나오니까요. ‘즐기자’는 생각으로 하니 제가 표현하려 했던 에너지가 고스란히 전달된 것 같아요.”
박윤재는 스스로 유연성과 음악성, 회전력을 장점으로 평가했다. 그 장점을 보여 줄 수 있는 작품이 바로 ‘파리의 불꽃’이었고 이것으로 우승을 차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콩쿠르 기간 우승을 직감한 적은 없었다고 한다. 즐기는 무대였기 때문에 힘들지도 않았다. 오히려 이런 꿈의 무대에 설 수 있다는 사실이 감격스러워 눈물을 흘렸을 정도였다고 한다.
앞으로 발레를 계속한다는 목표는 있지만 어느 학교에 갈지, 누구에게 배울지 등은 정하지 않았다. 박윤재는 “저는 무용수라기보다는 아직 배움이 필요한 학생”이라며 몸을 낮췄다. 연습이 없을 땐 유튜브나 소셜미디어(SNS)를 보며 쉬는 게 낙이다.
그가 생각하는 발레의 매력은 분명했다. 그는 “(발레는) 그 어떤 예술보다 사람의 마음을 즐겁게 만드는 데 탁월한 것 같다”고 했다.
“자신만의 개성이 없다면, 무용수의 일은 로봇이 하는 것과 다를 바 없겠지요. 하지만 무용은 기계가 아닌 사람이 하는 예술이잖아요. 저마다의 색깔과 나름의 해석이 중요한 것임을 로잔에서 배웠습니다. 거기에 더해 무엇보다 중요한 건 자신을 믿고 나아갈 수 있는 용기겠지요.”
2025-02-13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