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극은 늘 무대 위 현실의 파열을 통해 관객의 감각을 흔들어왔다. 그 가운데, 날카로운 시선과 촘촘한 구조로 동시대 연극의 경계를 확장하는 극작가 겸 연출가 임주영(필명: 이반림)이 오는 7월, 신작 ‘의식적 정화’로 자신만의 언어를 이어간다. 이번 작품은 그가 직접 집필, 연출, 출연까지 도맡은 이례적 작업으로, 연극계 안팎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의식적 정화’는 인간이 무의식적으로 외면해온 감정의 잔재들을 다시 들여다보는 정서적 통과의례를 다룬다. 추상화된 무대 위 ‘정화의 공간’은 오직 배우의 신체와 언어로만 구성되며, 관객은 밀도 높은 감정의 실험에 동참하게 된다.
임주영의 연극은 종종 ‘입센의 구성력’과 ‘안헬리카 리델의 감각성’을 동시에 연상케 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서사의 구조적 완결성과 인물의 내면 심리를 교차시키는 방식은 고전 리얼리즘의 연장선상에 있다. 동시에, 그가 무대 위에 구현하는 언어와 신체, 침묵과 정지의 리듬은 안헬리카 리델식의 육체적 감각과 실험성을 함께 담아냄으로써 고전의 구조를 해체하지 않으면서도, 철저히 새로운 언어로 재창조한다.
또한 ‘서사’ 해체를 시도하고, 그 안의 인물과 감정을 지연하고, 조정하고, 중첩시킴으로써 관객이 이해가 아닌 감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을 만들어낸다. 이때 그의 무대는 단순히 사건을 전개하는 곳이 아니라, 감정이 휘발되기 전 ‘붙잡힌 감각의 실험실’이 된다.
그의 대표작 ‘공란’은 재난 이후의 인간 존재를 침묵과 빈자리로 조망했고, ‘획의 간극’은 세대와 언어의 간극을 시각화한 실험극으로 주목받았다. ‘더 나은 휴머니티’에서는 기술과 감정을 주제로 한 SF 심리극을 선보이며, 연극성과 철학을 동시에 성취한 바 있다.
이번 ‘의식적 정화’는 전작의 미학을 계승하면서도 한층 더 내면으로 파고드는 시도로, 무대 위 자기 서사에 정면으로 응답하는 행위이기도 하다. 무대는 추상화된 ‘정화의 공간’으로 설정되며, 배우의 신체와 언어만으로 구축된다. 관객은 이 밀도 높은 감정의 실험실에 동참하게 된다.
임주영(이반림)은 “정화는 제거가 아니라, 다시 그 자리를 바라보는 것”이라 말한다. 그가 이번에 직접 배우로 무대에 선다는 점은, ‘정화’라는 개념이 더 이상 인물의 문제가 아닌 자신의 서사라는 사실을 드러낸다. 이 작품은 그에게 있어 연극적 고백이자, 감정적 현상학에 가까운 시도다.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넘나들며 인간의 감정과 서사를 정면으로 응시해온 임주영(이반림)의 이번 실험은, 무대 언어의 재정의이자 정동의 해석학이 될 것이다.
창작집단 H8E가 주최·주관하며 협동조합 아트컴퍼니 드레,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후원하는 이번 연극은 오는 7월, 서울 대학로 소극장 ‘예술공간 혜화’에서 초연된다. 공연 일정은 7월 11~13일 총 3회로 진행되며, 티켓은 6월 4일 인터파크 티켓(NOL 티켓)을 예매할 수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