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명이 얘기하는 초경에 얽힌 해프닝

100명이 얘기하는 초경에 얽힌 해프닝

입력 2011-05-28 00:00
업데이트 2011-05-28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 …레드북 】레이첼 카우더 네일버프 엮음 부키 펴냄

여성들이 매월 주기적으로 겪는 월경. 좋든 싫든 어쩔 수 없이 치러야만 하는 이 생리현상은 ‘여성으로 거듭나는 아름다운 불결함’이다. 특히 어린 나이에 불쑥 맞게 되는 첫 생리, 초경은 두려움과 부끄러움의 충격적 사건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 많은 여성들은 초경을 혼자만의 기억으로 감춘 채 입밖에 내기를 꺼려한다.

여전히 축복보다는 감추어야 할 일로 인식되는 월경. 적지 않은 나라와 문화권에선 이 월경을 저주와 차별의 대상으로 몰아가기도 한다. 인도 남부 지역에선 월경 기간 여성들은 가족과 떨어져 지내야 하고 이슬람 교도들은 생리 전후 특별한 의식과 기도를 행한다. 과테말라에서는 찬 음식과 계란을 피하고 3일간 목욕을 금하게 하기도 한다. 미국와 유럽에선 1940년대까지도 생리를 하는 여성은 화분에 물을 주지 못했다고 한다. 식물이 말라죽는다는 이유에서였다.

‘마이 리틀 레드북’(레이첼 카우더 네일버프 엮음, 박수연 옮김, 부키 펴냄)은 초경에 얽힌 다양한 경험과 인상들을 엮은 ‘월경 모놀로그’다. 예일대 학생인 엮은이가 자신의 초경 해프닝을 토대로 주변의 경험담을 탐문해 묶은 100명의 초경 이야기. 미국을 비롯해 아시아, 아프리카 등 전 세계 여성들의 초경에 얽힌 해프닝과 사건들을 솔직하게 풀어냈다. 1916년생의 최고령 기고자부터 2007년 초경을 치른 최연소 기고자까지의 이야기를 읽다 보면 과연 초경은 여성들만 겪는 여성들만의 불편하고 은밀한 진실로 남겨야 할 것인지를 생각하게 한다. ‘프린세스 다이어리’의 멕 캐봇, 영화 ‘사랑이 지나간 자리’의 원작자 재클린 미처드, ‘호밀밭 파수꾼을 떠나며’의 조이스 메이너드 같은 유명 작가들의 떳떳한 고백도 흥미와 진지함을 더한다.

부모님과의 관계, 문화적 정체성, 형제 자매와의 갈등, 난처했던 경험, 성장통…. 초경에 얽힌 갖가지 보편적인 체험들을 통해 엮은이가 전하는 메시지는 역시 차별과 무지의 타파다. 엮은이가 서문에서 밝힌 책의 의도이다. 여성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들은 그래서 엄마와 딸, 선생님과 학생이 함께 읽어도 손색이 없을 성교육서로서의 가치도 지닌다. 1만 2000원.

김성호 편집위원 kimus@seoul.co.kr

2011-05-28 1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