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속 문화의 뿌리 되살리고 싶어”

“일상속 문화의 뿌리 되살리고 싶어”

입력 2011-08-03 00:00
수정 2011-08-03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불교서 유래한 상용어 지명사전’ 낸 박호석 前농협대 교수

말·글은 역사와 문화를 담아 전하는 그릇이라 한다. 선대의 의식구조나 풍속은 물론 선조가 살아내며 형성한 문화의 과정과 가치관까지 오롯이 들여다볼 수 있는 근거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금 통용되는 말의 뿌리를 알려는 노력은 민족문화의 저변을 파고 드는 지름길로 여겨진다.

이미지 확대
일상적으로 쓰이는 불교 용어의 체계적 정리가 절실하다고 강조하는 박호석씨.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일상적으로 쓰이는 불교 용어의 체계적 정리가 절실하다고 강조하는 박호석씨.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일상에서 쓰이는 상용어와 지명 가운데 불교에 뿌리를 둔 것만을 추려 정리한 사전이 처음 나와 불교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전 농협대 교수 박호석(62)씨가 4년간의 고생 끝에 세상에 내놓은 ‘불교에서 유래한 상용어 지명 사전’(불광출판사 펴냄). 상용어 630개와 지명 551종을 정병조 금강대 총장과 최명환 공주교대 명예교수의 꼼꼼한 감수를 거쳐 수록했다.

“정년퇴직 후 기독교 관련 신문의 고정 칼럼을 읽다가 이상한 점을 발견했어요. ‘심금’이니 ‘다반사’ 같은 말은 불교 용어이니 기독교인은 써서는 안 된다는 요지의 글이었지요.” 일상에서 종교와 관계없이 널리 통용되는 말을 굳이 집단의 차원에서 배제하려는 시각에 문제가 있다고 느꼈단다. 그래서 각방으로 수소문해 파악한 결과 불교에서 시작돼 흔히 쓰이는 말 중 공식적으로 정리된 게 고작 50여개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한다. 이후 각종 사전과 사료, 지방자치단체의 문헌 등을 샅샅이 훑어 결과물을 내놓았다.

“불교가 전래된 지 1600년이 흘렀다면 이 땅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삶과 의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고 봐야 합니다. 국가 문화재의 큰 부분을 불교가 차지하는 게 그 증거 아닐까요. 흔히 쓰는 상용어며 지명 역시 종교의 차원이 아닌 문화의 차원에서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유형의 문화재만 보존 유지할 게 아니라 일상 속에 깊숙이 스민 문화의 뿌리를 먼저 찾아 되살려야 한다는 주문이다.

“조선시대, 숭유억불 탓에 대중에 널리 퍼진 불교문화의 말살과 왜곡이 진행된 데다 일제시대의 민족혼 말살 차원의 불교문화, 아니 민족문화 정리가 전국적으로 있었지요. 최근만 해도 행정체계 정리 과정에서 빚어진 용어나 지명의 왜곡 또한 만만치 않은 수준입니다. 이런 과정을 보면 마치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하는 것만 같아 안타깝습니다.”

최근 시행과 관련해 물의를 빚은 새 도로명 주소에도 불만을 숨기지 않는다. “새 주소대로라면 그 지명에 담긴 역사와 문화가 고스란히 실종된다고 봐야 합니다. 새 도로명 주소 체계가 경제·사회적 이점을 갖췄다고 하더라도 역사·문화적 고리와 중요성만큼은 충분히 감안해야 하지 않을까요.”

하루가 다르게 소멸되고 왜곡되는 중요한 정신문화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기는 일반인 못지않게 불교계도 마찬가지라고 꼬집는다. “기독교에서 일상적으로 쓰는 장로며 예배는 불교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그런 말을 오히려 불교계가 노장이며 예불로 바꿔 쓰는 실정이니 안타깝지요.”

김성호 편집위원 kimus@seoul.co.kr

2011-08-03 23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