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의 바다서 건져 올린 ‘네 글자 통찰’

고전의 바다서 건져 올린 ‘네 글자 통찰’

입력 2012-03-24 00:00
수정 2012-03-24 00: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침】 정민 지음/김영사 펴냄

‘검은 표범은 안개비가 7일 동안 내려도 먹이를 찾아 산을 내려오지 않는다.’ 표범이 털을 기름지게 한 뒤 무늬를 이루기 위해 숨어서 해를 멀리한다는 이른바 ‘남산현표’(南山玄豹)다. 주역엔 ‘군자는 표범처럼 변한다.’는 ‘군자표변’(君子豹變)으로 등장하는 성어. 공부를 차곡차곡 축적해서 문득 반짝이는 지혜를 갖추게 된다는, 쉼 없는 공부와 준비의 당부로 통한다.

세상이 답답할 때, 혹 마음과 같이 일이 풀리지 않을 때 만난 고전의 옛글은 가뭄 속 단비처럼 반갑다. 꽉 막힌 지금의 실상을 제대로 보고 내일을 여미게 하는 선인들의 생각과 교훈은 그 어느 것과 비교할 수 없는 짜릿한 청량제일 수 있다. 한양대 국문과 정민 교수가 지은 ‘일침’(一針)(김영사 펴냄)은 바로 옛것을 빌려 오늘을 실감이 나게 말하는, 바늘 끝 같은 글 모음이다. 고전의 바다에서 건져 올린 마음과 세상에 대한 간명한 통찰. 네 글자 속에 담아 풀어낸 문화담론과 촌철살인의 일침이 예리하다.

책은 ‘마음의 표정’ ‘공부의 칼끝’ ‘진창의 탄식’ ‘통치의 묘방’ 등 네 개의 카테고리로 나눠 100개의 글을 묶었다. 선인들의 마음 공부와 지식 경영법, 어지러운 세상에 대한 고발과 해결법을 제시한 짤막짤막한 글들엔 단순한 고전 소개를 넘는 웅숭깊은 성찰과 통렬한 비판이 담겼다. ‘군자는 표범처럼 변한다.’는 군자표변에 붙인 말을 보자. “당장 먹고사는 일에 얽매여 공부를 내팽개친 채 여기저기 기웃대면 문채(文彩)는 갖춰지지 않고 그저 지저분한 개털만 남는다.”

청(淸) 말의 전각가 등석여의 인보(印譜)에 등장하는 ‘심한신왕’(心閒神旺·마음이 한가하면 정신이 활발하다). 일없는 사람이 마음만 바쁘며 공연한 일을 벌인다고 했던가. 정신이 왕성한 것과 마음이 바쁜 것을 혼동하면 안 된다는 저자는 “나는 몸이 하도 바빠 마음을 잃어버린 사람은 아닌가?”라고 자문한다.

시경 ‘소아’ ‘정월’편의 ‘자웅난변’(雌雄難辨)은 어떤가. 이곡, 정약용, 이덕무 같은 많은 지식인이 즐겨 쓰며 혼탁한 세태를 일갈했다는 ‘까마귀의 암수는 분간하기 어렵다.’는 말. 검증할 수 없는 의혹이 난무하고 공천 심사로 얼룩진 지금 정국을 겨냥하는 청언소품(잠언풍의 짧은 글)이 아닐까. “떠나야 할 자리에 머물러 앉아있으면 결국 추하게 쫓겨난다.”는 ‘지지지지’(知止止止)며 “통하면 안 아프고 안 통하면 아프다.”는 ‘불통즉통’(不通則痛)도 요즘 사람들이 새겨볼 만한 명편들이다. 저자는 그 글들을 소개하면서 이렇게 적어놓았다. “고작 네 글자로 문화의 담론을 이끌어내는 지적 전통 속에 내가 속한 것이 자랑스럽다.” 1만 4000원.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2-03-24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