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언 마을 공화국】여치헌 지음 휴머니스트 펴냄
1492년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했다고 한다. 그것은 과연 신대륙이었을까. 이미 그 대륙에는 원주민이 살고 있었다. 콜럼버스는 그 땅을 인도로 착각했고 원주민을 인도 사람이라는 뜻으로 ‘인디오’라고 했다. 하여 새로운 대륙이라는 말은 틀리다.미국에는 현재 연방 주권, 주 주권, 부족 주권 등 세 가지가 공존한다. 이 가운데 부족 주권은 북아메리카 인디언이 보호구역 내에서 행사하는 주권으로 이곳에는 주와는 별개의 의회, 행정부, 사법부 조직이 갖춰져 있다. 미국 전역에 흩어져 있는 인디언 보호구역은 약 310개에 이른다. 그중 애리조나, 유타, 뉴멕시코 주에 걸쳐 있는 나바호 보호구역은 그 넓이가 우리나라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를 합한 것과 맞먹는다.
만약 인디언 부족들이 서로 연합해서 미국 정부에 대항했더라면 역사는 어떻게 달라졌을까. 인디언들은 강탈당한 땅을 왜 찾지 않았을까. 또한 왜 국가를 만들지 못한 것일까, 아니면 안 만든 것일까.
신간 ‘인디언 마을 공화국’(여치헌 지음, 휴머니스트 펴냄)은 ‘북아메리카 인디언은 왜 국가를 만들지 않았을까.’라는 질문을 던지면서 북아메리카 인디언이 이론상 연방 주권과 대등한 영향력을 지닌 부족 주권을 얻기까지의 역사를 흥미롭게 들려주고 있다. 이 책은 인디언이 멸망하지 않았다는 점에 방점을 찍고 이야기를 전개해 나간다. 섬세한 시선으로 미국 정부가 인디언 부족의 땅을 빼앗은 이론적 배경과 논리를 살폈으며 강제 이주 이후의 역사에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 저자는 이들 인디언이 국가를 만들지 않은 것은 사회로부터 분리된 권력의 탄생을 바라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국가가 아닌 사회이면서 국가에 버금가는 주권을 가진 ‘인디언 마을 공화국’이야말로 우리 모두가 주목해야 할 정치 사회라고 강조한다. 1만 6000원
김문기자 km@seoul.co.kr
2012-03-3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