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중기 학자 권문해 父子 14년 일기 한글로

조선중기 학자 권문해 父子 14년 일기 한글로

입력 2012-12-26 00:00
업데이트 2012-12-2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초간·죽소부군일기 2권 번역 출간

조선시대 백과사전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을 집필한 학자 초간(草澗) 권문해(1534~1591)와 그의 아들 권별(1589~1671)의 일기집이 나란히 우리말로 번역돼 나왔다.

한국국학진흥원은 24일 권문해가 쓴 ‘초간일기’와 그의 아들 권별의 ‘죽소부군일기’를 처음으로 우리말로 번역해 두 권의 책으로 펴냈다고 밝혔다.

권문해는 율곡 이이와 송강 정철보다는 2살이, 학봉 김성일보다는 4살, 서애 유성룡보다는 8살이 많았으니 사실 같은 시대 인물이다. 그는 1589년(선조 22년) 대구부사(大丘府使)로 있을 때 20권 20책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대동운부군옥’을 지었다. 한국과 중국 문헌을 망라해 단군 시대부터 조선 중기까지 우리나라의 지리·역사·인물·문학·식물·동물에 관한 정보를 집대성한 일종의 백과사전이었다. 19세기 서유구(1764∼1845)가 한국과 중국의 900종의 책을 참고해서 쓴 ‘임원경제지’(113권 52책)에 앞서는 ‘16세기 조선의 브리태니커’라고 할까.

이번에 한글로 번역된 ‘초간일기’는 권문해가 47세이던 1580년부터 임진왜란 전해인 1591년까지 12년 동안 기록한 일기다.

한국국학진흥원은 “실증적, 사실적으로 글을 쓰는 권문해의 태도는 그의 일기에 그대로 나타난다.”면서 “자기 주위의 일뿐 아니라 그것에 대한 자기 생각까지 적었으며 관직생활의 구체적 내용도 일기에 담았다.”고 소개했다.

‘죽소부군일기’는 권문해의 아들인 권별이 인조반정(1623) 후 정묘호란(1627) 전인 1625~1626년에 쓴 일기다. ‘죽소부군일기’에는 조선왕실의 계보를 바로잡기 위해 중국과 벌인 외교 협상이 마무리되자 이를 축하하기 위해 지은 글인 ‘개종계사문’(改宗系赦文)과 영남 고을의 풍토와 민속을 기록한 ‘영남지지’(嶺南地誌),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한국어 음을 소개한 ‘설부-동인방언(東人方言)’이 부록으로 수록돼 있다. 참고로 ‘계종계사문’은 명나라에서 지은 ‘태조실록’과 ‘대명회전’에 이성계가 고려의 권신인 이인임(?~1388)의 아들로 기록돼 있어 이것을 바로잡은 것이다. 이 문제가 15~16세기 명나라와 조선의 핵심 외교문제였다는데, 요즘 한·중·일이 역사교과서 왜곡문제로 싸우는 것과 비슷해 보인다.

이 세 편의 글은 아버지 권문해가 정리한 것이다. 한국국학진흥원은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조선시대 일기는 적지 않지만 부자(父子)가 대를 이어 기록한 경우는 대단히 드물다.”고 설명했다.

문소영 기자 symun@seoul.co.kr

2012-12-26 2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