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적 당신의 친구 ‘그림동화’ 그 진짜 이야기가 시작된다

어릴적 당신의 친구 ‘그림동화’ 그 진짜 이야기가 시작된다

입력 2012-12-29 00:00
업데이트 2012-12-29 00: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림형제 민담 탄생 200주년 각색없는 독일어 최종판 첫 완역

그림형제 동화를 고스란히 모아뒀는데 제목은 ‘그림형제 민담집’(그림 형제 지음, 김경연 옮김, 현암사 펴냄)이다. 그림형제 동화의 원제는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이야기’(Kinder und Haus Mrchen). ‘메르헨’(Mrchen)의 원뜻은 동화가 아니라 ‘짧은 이야기’ 정도다. 아이와 가정에 어울리는 짧은 이야기집이란 뜻이다.
1857년 최종판에 실린 ‘룸펠슈틸츠헨’ 그림. 그림형제가 채록한 얘기들이 동화가 아니라 민담인 이유는 성인들에게도 다양한 해석 가능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방안을 돌아다니는 조그만 난쟁이 괴물 얘기를 다룬 ‘룸펠슈틸츠헨’ 같은 얘기들은 초기 상업자본주의의 모습에 대한 묘사라는 평도 받는다.
1857년 최종판에 실린 ‘룸펠슈틸츠헨’ 그림. 그림형제가 채록한 얘기들이 동화가 아니라 민담인 이유는 성인들에게도 다양한 해석 가능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방안을 돌아다니는 조그만 난쟁이 괴물 얘기를 다룬 ‘룸펠슈틸츠헨’ 같은 얘기들은 초기 상업자본주의의 모습에 대한 묘사라는 평도 받는다.


13년간 수집한 뒤 1812년 첫 권을 냈고, 7번에 걸친 수정보완작업 끝에 1857년 최종판을 내놨다. 엄격한 학자풍의 형 야콥에게서 문학가적 기질이 있는 동생 빌헬름으로 작업 주도권이 넘어가면서 판갈이할 때마다 더 문학적으로 가다듬어졌다는 평을 받는다.

우리가 어렸을 적 접한 그림형제 동화도 이 최종판이다. 이 책의 유명세는 너무 대단해 새삼 언급할 필요가 없을 정도다. ‘백설공주’, ‘빨간모자’, ‘헨젤과 그레텔’, ‘라푼첼’, ‘개구리 왕자’ 같은 얘기들은 예나 지금이나 인기가 좋다.

이 책도 최종판의 번역본이다. 출판사 측은 “완역이 있긴 했는데 어린이용으로 각색되거나 중역된 경우여서 온전한 독일어판 완역은 사실상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여기에다 최종판으로 정리하는 과정에서 빠진 41개 이야기도 부록으로 실어뒀고, 판본에 따라 어떤 이야기가 빠지고 들어갔는지도 정리해뒀다. 책 앞에 실린 자료사진에는 그림형제의 채록작업 상대였던 이야기꾼 할머니 도로테아 피만의 얼굴도 실려있다. 1812년 첫 선을 보인 그림형제 민담 탄생 200주년을 위한 생일상이다.

역시 잔혹한 서술이 눈에 띈다. ‘백설공주’에서 사냥꾼에게 공주 살해를 의뢰한 왕비가 공주의 죽음을 확인하는 방식은 공주 허파와 간을 끓여서 먹는 것이다.

불쌍한 공주를 놓아준 사냥꾼은 공주를 죽였다고 거짓말한 뒤 왕비에게 그 증거로 멧돼지의 허파와 간을 공주의 것이라며 건네줬다. ‘재투성이 아셴푸텔’(신데렐라)에서 심술궂은 의붓누이 둘은 황금구두에 발을 맞추기 위해 엄지발가락과 뒤꿈치를 잘라내더니, 나중에는 아셴푸텔을 돕던 하얀 새들의 공격으로 양쪽 눈이 다 뽑힌다. 유명한 얘기만 예로 들어서 그렇지 다른 얘기들에 더한 경우도 많다.

최종판에서 빠진 41편의 이야기를 보면서 채록 의도가 뭘까 상상해보는 것도 재밌다. 독일어, 독일신화 연구자였던 그림형제에게 민담 채록 작업 역시 독일 민족주의를 위한 것이었다. 수백년 이어온 독일 민족 고유의 그 무엇을 담아내려 한 것이다.

그런데 채록 작업을 진행하던 중 다른 나라에서 유사한 얘기가 발견되는 경우가 있다. 그땐 그 얘기를 제외시켰다.

가령 영화 ‘슈렉’ 덕분에 슈퍼스타로 떠오른 ‘장화신은 고양이’도 최종판에 빠진 41편의 이야기 가운데 하나다. 참고로 영화에서는 안토니오 반데라스에게 더빙을 맡겨 조로처럼 스페인 냄새를 짙게 풍겼다면, 민담집에서는 프랑스적이라는 이유로 빠졌다. 지금도 이 이야기는 프랑스 아동문학가 샤를 페로의 작품으로 내려온다.

마지막으로 잔재미 하나. 옛 동화책이라면 역시 정교하게 만들어진 동판화 그림을 빼놓을 수 없다. 이 책에는 1857년 최종판 그림을 고스란히 옮겨다 놨을 뿐 아니라, 한국 작가가 만든 비슷한 느낌의 그림 20컷을 추가해뒀다. 그래서 책을 펴들면 어린 시절 기억이 제법 난다. 같이 읽은 뒤 아빠 혹은 엄마가 어릴 적엔 어떻게 읽었는지 얘기 나눠보는 것도 재밌는 경험이 될 것 같다. 4만 5000원.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2-12-29 1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