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의 속도로 변하는 지금의 세상은 한편에서 ‘미래 예측 불가’라는 포기의 선언까지 불러낼 정도로 복잡하고 빠르게 움직인다. 그런 세상의 미래는 불확실성과 불감의 깊이만큼이나 앞을 전망하는 예측도 다양하게 뻗친다. 실제로 지금 지구촌에는 각 분야에서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의 미래 예측과 보고가 난무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미래의 역습, 낯선 세상이 온다’는 곧 닥칠 인류의 미래를 세밀하게 예고한 미래 예측 보고서로 눈길을 끈다. ‘지정 미래학 1인자’라는 미국 국가정보위원회(NIC) 전 정보국장이 현직에 있을 때 입수한 자료를 토대로 구성한 세계 대변혁 시나리오다. 머지않은 2030년을 미래의 거점으로 삼아 지구촌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를 촘촘하게 엮어 낸 흔치 않은 보고서의 내용이 충격적으로 다가온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게 보고됐다는 ‘글로벌 트렌드 2030’의 초안 작성은 물론 처음부터 끝까지 전 과정을 지휘한 것으로 알려진 저자. 그가 입체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귀띔하는 15년 후의 가장 큰 변화는 지금 단계에선 선뜻 받아들이기 쉽지 않은 ‘메가 트렌드’의 도래다. 우선 진보한 인터넷·소셜미디어가 탄생시킨 강력한 비국가 단체·개인이 정부 권력에 맞서며, 모든 판도를 바꿔 놓을 것이란 전망이 눈에 띈다. 아시아가 거의 모든 분야에서 북아메리카와 유럽을 능가하게 되며 생명공학·로봇공학 발달로 수많은 사람이 일자리를 빼앗길 것으로 보인다. 물론 사이버 보안과 윤리적 문제가 심각하게 따른다. 기후변화와 자원전쟁으로 모든 나라가 힘겨운 도전을 받게 될 것이란 전망은 진부하게 들릴 정도다.
여기에 중진국의 문턱에 걸린 중국과 초강대국 미국의 지위 변화, 핵무기와 관련된 전쟁 가능성이 실감 나게 점쳐진다. 중국은 세계 최대 경제대국이 되겠지만 지금의 경제성장률 7~8%는 2030년 무렵이면 기억 속에서 멀어질 것이며 경제 강대국의 자리를 인도에 빼앗길 수도 있다고 한다. 초현대적이고 파괴적인 로봇 시스템의 등장은 특정 산업의 노동시장 전체를 날려 버릴 가능성도 들춰진다. 중동 분쟁이 제1차 세계대전과 유사한 지경에 이를 수 있으며 신흥 중간층 국가가 세계 권력 측면에서 유럽연합(EU)의 28개국 회원국을 따라잡을 것이란 전망도 있다.
그 예측들 가운데 이미 현재 진행 중인 게 많고 그중 일부는 무시무시한 결과를 부를 것이라고 분명히 경고하고 있다. “피할 수 없는 변화를 위기가 아닌 기회의 방향으로 돌리도록 노력해야 한다. 어떤 미래를 선택할지는 우리 손에 달렸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5-02-14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