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정부는 9·11 테러 미리 알았다… 아폴로 11호 달착륙은 가짜…
누가 진실을 말하는가캐스 선스타인 지음/이시은 옮김/21세기북스/344쪽/2만 1000원
![미국 9·11 테러는 물론 한국의 천안함 폭침 등 국내외 각종 사건과 사고 뒤에는 음모론이 따르곤 한다. 음모론은 국가가 정보를 틀어쥐고서 시민들과 공유하지 않는 상황에서 더욱 심화되는 경향이 있다. 사회의 갈등과 대립의 원인이거나 결과물이라는 분석도 함께 제기된다. 사진은 2001년 9월 11일 아침 불타고 있는 세계무역센터 모습. A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2/13/SSI_20150213170034_O2.jpg)
AP 연합뉴스
![미국 9·11 테러는 물론 한국의 천안함 폭침 등 국내외 각종 사건과 사고 뒤에는 음모론이 따르곤 한다. 음모론은 국가가 정보를 틀어쥐고서 시민들과 공유하지 않는 상황에서 더욱 심화되는 경향이 있다. 사회의 갈등과 대립의 원인이거나 결과물이라는 분석도 함께 제기된다. 사진은 2001년 9월 11일 아침 불타고 있는 세계무역센터 모습. A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2/13/SSI_20150213170034.jpg)
미국 9·11 테러는 물론 한국의 천안함 폭침 등 국내외 각종 사건과 사고 뒤에는 음모론이 따르곤 한다. 음모론은 국가가 정보를 틀어쥐고서 시민들과 공유하지 않는 상황에서 더욱 심화되는 경향이 있다. 사회의 갈등과 대립의 원인이거나 결과물이라는 분석도 함께 제기된다. 사진은 2001년 9월 11일 아침 불타고 있는 세계무역센터 모습.
AP 연합뉴스
AP 연합뉴스
2004년 8월 뉴욕 시민 대상 여론조사에서 49%가 ‘2001년 미국 정부가 9·11 테러를 사전에 알고도 의도적으로 행동에 나서지 않았다’고 응답했다. 가장 최근까지 제기된 대표적인 음모론이다. 익히 알려진 음모론은 이뿐만이 아니다.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은 연출된 것이고 실제로 성공하지 못했다, 기후변화이론은 조작된 사기극이다, 미국 정부는 외계인의 존재를 알면서도 숨기고 있다, 아시아 금융위기는 로스차일드가 등 유대계 은행들이 모의한 결과다 등등….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2/13/SSI_20150213165943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2/13/SSI_20150213165943.jpg)
음모론은 뒤늦게 진실의 실체로서 밝혀지기도 하고, 일부 음모론 확신주의자들을 제외하고는 보편적 거짓으로 인식되며 슬그머니 사그러들기도 한다. 분명한 점은 음모론이 비판적 사고와 대중적 설득력을 가질 때 확산된다는 사실이다. 정보의 생산과 유통이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사회에서 음모론의 설 자리는 그리 넓지 않다.
‘누가 진실을 말하는가’는 ‘넛지’로 이미 국내에도 잘 알려진 캐스 선스타인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의 새로운 책이다. 그는 오바마 정부시절 대통령의 지명과 상원의 인준이 필요한 백악관 규제정보국장을 지내며 현실 정치에 발을 담갔다. 공화당 및 보수진영의 공격 대상이 됐음은 물론 음모론의 희생양이 됐던 경험들이 행간에 녹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스타인 교수는 ‘자유 언론이 부재하는 독재 정권 치하의 국민이라면 그들이 듣는 모든 공식적인 발표를 전부 또는 대부분 불신할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 그리고 그 음모론이 사실일 확률도 높아진다. 언론의 자유가 보장되고 견제와 균형의 원리가 작동하는 사회에서는 정부가 음모를 오랫동안 감추기가 결코 쉽지 않다’고 강조한다.
음모론으로 첫 장을 시작하지만 그의 정치사회적 관심과 학문적 탐구가 궁극적으로 얘기하고 싶은 곳은 따로 있다. 바로 갈등의 조정이다. 동물의 권리, 동성결혼, 기후변화, 성차별 등 구체적인 쟁점에 대해 국가의 역할 또는 시장의 역할을 강조하는 측으로 나눠진 진영 사이에서 문제를 풀어 나가기 위한 방법에 대한 제안이다.
우선 가장 가시적이면서도 빠른 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 ‘최소주의’다. 정치와 법 등에서 첨예하게 대립하는 사안이 있다면 결론을 이끌어 내는 차원에서 효과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다만 얕은 수준의 합의인 만큼 봉합의 성격이 짙다. 대신 그가 제시하는 것이 ‘중간주의’다. 말 그대로 타협적 입장이다. 어느 한쪽의 극단을 선택하는 것보다 낫고 사회적 갈등과 대중의 분노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평가다. 문제를 미루는 대신 타협을 통해 문제의 종지부를 찍자는 것이다. 노회한 정치인의 입장처럼 느껴지지만 고통스러운 대립과 갈등의 상황에서 이를 조정하고 중재해야만 하는 현실 정치에 발을 디뎌본 이로서 온몸으로 체감한 부분일 수도 있겠다 싶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2015-02-14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