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책속 이미지] 뉴턴·헤밍웨이·처칠… 고양이를 사랑한 캣맨

[그 책속 이미지] 뉴턴·헤밍웨이·처칠… 고양이를 사랑한 캣맨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7-06-23 22:42
수정 2017-06-24 00: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그 남자의 고양이/샘 칼다 지음/이원열 옮김/북폴리오/101쪽/1만 5000원
이미지 확대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은 고양이들을 자주 불러낸다. ‘해변의 카프카’ 속 인물 나카타는 기억을 잃고 고양이들과 대화하는 능력을 갖게 된다. ‘1Q84’에서는 고양이들이 사는 마을에서 밤을 보내는 남자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2년 전 팬들의 질문을 받는 임시 웹사이트에는 고양이에 대한 질문이 쏟아졌다. 잃어버린 고양이를 찾는 법을 일러 달라는 한 독자의 말에 하루키는 이렇게 답했다. “고양이는 가끔 그냥 없어집니다. 주위에 있을 때 사랑해 주고 고마워해야 합니다.”

최근 국내 최초의 퍼스트 캣이 된 고양이 ‘찡찡이’가 화제가 되면서 ‘집사’ 문재인 대통령의 고양이 사랑이 눈길을 끌었다. 책은 고양이를 사랑했던 역사 속 ‘캣맨’들의 이야기를 도회적이면서도 다감한 일러스트와 함께 짝지웠다.

철학자 미셸 드 몽테뉴, 과학자 아이작 뉴턴, 작가 마크 트웨인·어니스트 헤밍웨이, 작곡가 모리스 라벨, 영국 총리 윈스턴 처칠, 배우 말런 브랜도, 뮤지션 프레디 머큐리 등 유명 캣맨 30명의 고양이 예찬을 위트 있는 에세이로 들려준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06-2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