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다섯 살, 위안부 소녀의 깊은 슬픔

열다섯 살, 위안부 소녀의 깊은 슬픔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8-08-02 17:54
수정 2018-08-03 00: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흐르는 편지/김숨 지음/현대문학/310쪽/1만 3000원
이미지 확대
우리는 끝끝내 알 수 없을 것이다. 취직하는 줄 알고 부모 품을 떠나 일본과 중국의 위안소에 다다른 소녀들의 심정을. 하루에도 몇 번씩 자신의 몸을 짓누르는 군인들을 바라보며 떠올렸을 수많은 생각을. 그럼에도 우리는 소녀들의 고통에 대해 계속해서 듣고 말해야 한다. 그것이 우리가 역사를 기억하고 아픔에 연대하는 유일한 방법이기에.

김숨 작가의 신작 ‘흐르는 편지’는 소녀들을 끔찍한 폭력으로 내몬 그 처참한 현장으로 우리를 데려다 놓는다. 2016년 ‘한 명’에서 위안소에서 살아 돌아온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의 이야기를 다뤘던 작가는 이번 작품에서는 만주 위안소에 살고 있는 열다섯 살 소녀를 화자로 내세웠다.

비단 공장에 취직시켜 준다는 말에 속아 중국에 끌려온 조선인 소녀 ‘나’는 어느 날 자신의 배안에 생명이 깃들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고향에 있는 어머니에게 편지를 쓰기 시작한다. 아기가 자라는 동안 조선인 위안부, 일본 군인들, 민간인들이 끊임없이 죽는 장면을 목도한 소녀는 아기의 죽음을 바랐지만 결국 생명의 가치와 소중함을 깨닫는다.

주인공 ‘나’ 이외에도 일본 군인에게 납치를 당해, 직업소개소에서 사기를 당해, 부모가 팔아넘겨서 위안소에 오게 된 소녀들의 삶을 지켜보는 내내 날카로운 것에 찔린 듯 가슴이 쓰라리다. 김 작가는 ‘작가의 말’에서 “10대 때 한 여자로서, 한 인간으로서 존엄을 훼손당한 그분들의 생애를 생각하면 저절로 울컥해진다”면서 “한 분이라도 더 살아 계실 때 그분들의 한결같은 바람이 이루어지기를 소망한다”고 밝혔다. 현재 우리 곁에서 숨 쉬고 있는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는 스물일곱 분이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8-08-03 3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