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전 로마 시인이 말하는 좋은 시란

2000년 전 로마 시인이 말하는 좋은 시란

이슬기 기자
입력 2019-02-26 17:18
업데이트 2019-02-27 03: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남우 번역 ‘호라티우스의 시학’…서간시 세 편 국내 첫 완역본 출간

이미지 확대
‘어떤 분야는 평범, 즉 참아줄 만하다면/용납되리다.(중략)/하나 평범한 시인들은/인간들도, 신들도, 책방주도 용서치 않으리다.’

로마를 대표하는 서정시인 호라티우스(BC 65~BC 8) 서간시의 국내 최초 완역본이 출간됐다. 호라티우스 서정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은 김남우씨가 번역한 ‘호라티우스의 시학’(민음사)이다. 기원전 14년쯤 두 권의 서간시로 출간됐던 이 세 편의 시 중 ‘시학’은 몇 차례 번역됐으나 ‘아우구스투스에게 보내는 편지’와 ‘플로루스에 보내는 편지’는 처음으로 한국 독자들을 만난다.

플라톤이 철학자 입장에서 시론을 펼치고, 아리스토텔레스가 철학자의 시각에서 비극의 시학을 쓴 반면 호라티우스는 시인으로서 창작 활동 제반과 시의 효용을 옹호했다. 그에게 좋은 시란 기교적으로 탁월할 뿐만 아니라 읽는 이에게 즐거움과 윤리적 교훈을 주는 것이었다. 또한 좋은 시는 좋은 삶과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시의 감화력과 교육적 가치를 중요히 여겼다. 이는 ‘시인 추방’을 주장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의 화해라 볼 수 있다.

호라티우스는 시를 향해 외부로부터 날아드는 화살을 막아 내는 한편으로, 내부를 향한 쓴소리도 아끼지 않았다. 그는 영감에만 기대어 시 쓰기를 신비화해서는 안 되며, 재능과 부단한 연습이 모두 갖춰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을 쓰는 그대들은 능력에 맞는 글감을 /고르시라. 불감당은 아닌지 어깨가 견딜 수 있을지/오래 두고 살피시라’고 일침하는가 하면 ‘사람 머리에 말 모가지를 붙이는’ 억지를 쓰거나, ‘모든 걸 믿으라 허구는 요구하지 않아야 한다’고 말한다. 2000년의 시간을 건너온 선배 시인의 따끔한 가르침이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9-02-27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