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만큼 시험을 많이 치르는 나라가 있을까. 그리고 한국인만큼 시험에 매달리는 이들이 또 어디 있을까. 그야말로 ‘시험공화국’에 ‘시험인간’들이 살고 있다. 전 세계 어느 나라에나 시험 제도가 있지만, 한국은 다른 나라와 달리 객관식 형태를 유독 선호하는 데다가 국가가 주관하는 대규모 시험이 많다는 점이 특징이다. 무엇보다, 인생의 길목마다 자리해 합격과 불합격을 가르는 ‘고부담 시험’이라는 데에 문제가 크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일하는 두 저자가 한국 사회를 지배하는 시험의 문제점을 짚는다. 저자들은 시험 결과에 따라 개인의 삶이 달라지는 사회에서 시험인간으로 전락하는 과정을 포착했다. 서로에 대한 불신과 이에 따른 불공정을 해소하자는 목소리에 시험은 힘을 얻었다. 한국이 교육을 통해 공정한 사회가 될 수 있었던 배경은 한국전쟁 전후 토지 균등 분배 때문이었다는 게 저자들의 주장이다. 그러나 예전과 달리 지금은 불평등이 확산하면서 시험은 공정성의 표피만 입은 신화와도 같다고 지적한다.
저출산, 정보기술의 발전, 그리고 급변하는 세계 속에서 더는 우리나라의 시험제도가 앞으로 힘을 쓰지 못할 것이라 경고한다. 경쟁교육이 아닌 평등교육으로 전환한 핀란드의 성공 사례, 교과 학습 능력 대신 역량을 기르려는 뉴질랜드의 도전, 그리고 국경 없이 공부하는 미네르바 스쿨, OECD의 데세코 프로젝트 등 여러 대안도 제시한다. 그러면서 “우리가 시험 이외의 대안을 찾아내지 못하는 건 대안이 없어서가 아니라, 우리가 지금 당장 시험을 치러야 하는 플레이어의 입장이기 때문”이라 말한다.
저자들은 ‘탈시험인간’이 되려면 문제를 푸는 교육에서 문제를 내는 교육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객관식 시험 외에 공정한 게 어디 있느냐”고 주장하는 이들, 표만 바라보고 대입 제도 문제를 풀지 못한 채 오락가락하는 정치권, 그리고 이런 구조를 돈벌이로 여기는 사교육 등이 버젓이 있는 한 ‘탈시험인간’은 요원해 보인다. 저자들은 그래서 무엇보다 ‘사회적 합의’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0-03-13 2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