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혼이 몸 빠져나와..현대인 영혼 다뤄
내면보다 타인의 시선 중요한 세태 경고
창비 ‘K-영어덜트’ 장르소설 Y시리즈 시작
![이희영 작가가 6일 창비에서 진행한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소설 ‘나나’의 의미와 ‘K-영어돌트’ 장르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창비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0/06/SSI_20211006154337_O2.jpg)
창비 제공
![이희영 작가가 6일 창비에서 진행한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소설 ‘나나’의 의미와 ‘K-영어돌트’ 장르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창비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0/06/SSI_20211006154337.jpg)
이희영 작가가 6일 창비에서 진행한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소설 ‘나나’의 의미와 ‘K-영어돌트’ 장르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창비 제공
창비 제공
베스트셀러 청소년 소설 ‘페인트’의 이희영 작가의 신작 소설 ‘나나’(창비)는 ‘영혼이 몸을 빠져나온다면’ 이라는 흥미로운 설정에서 출발해 현대인의 영혼을 속속들이 들여다본다. 이 작가는 6일 온라인 기자 간담회에서 “청소년뿐 아니라 중년 세대도 내면보다는 다른 사람에게 비취지는 모습이 중요한 요즘 사회를 되돌아보길 바라는 마음에서 책을 썼다”고 말했다.
![소설 ‘나나’. 창비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0/06/SSI_20211006154414_O2.jpg)
창비 제공
![소설 ‘나나’. 창비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0/06/SSI_20211006154414.jpg)
소설 ‘나나’.
창비 제공
창비 제공
작가는 제목 ‘나나’의 의미에 대해 “영혼이라는 나와, 육체라는 나의 분리된 상황을 이야기하는 것”이라며 “나를 다시 한 번 돌아보는 과정”이라고 소개했다. 집필 배경으로 그는 “전작 ‘페인트’를 마친 뒤 좁은 골목을 걸어가는 데 남학생 2명의 이야기를 들었다”며 “한 남학생이 ‘좋지 잘 됐지’라며 이야기하는 데 다른 친구는 휴대전화를 보며 심드렁하게 말하는 것을 보고 영혼이 없는 대답에 대해 써보면 재미있지 않을까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작가는 “결국 영혼은 마음이고, 요즘엔 10대도 명품 등 고가품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이는 남에게 보이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라며 “영혼이 없다는 점은 중년 세대도 충분히 생각해 볼 수 있는 문제”라고 덧붙였다.
한편 출판사 창비는 ‘나나’를 시작으로 한국형 청소년 소설을 의미하는 ‘K-영어덜트’(young adult) 장르 소설 Y시리즈를 시작했다. ‘K-영어덜트’는 청소년부터 성인까지 장르를 불문하고 이야기의 재미와 감동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소설이다. 스릴과 재미 중심의 서브컬처로 여겨지는 해외 영어덜트 소설과 달리, 사회상을 반영하고 가족애, 우정, 연대 등 삶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던지며 깊은 울림과 감동을 준다는 특징이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