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놓고 끌어올린 서정의 끝

나를 놓고 끌어올린 서정의 끝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5-02-05 23:55
수정 2025-02-05 23: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내가 사랑한 거짓말’ 펴낸 장석남 시인

이미지 확대
장석남 시인
장석남 시인


서정시를 쓰기 힘든 시대가 있었다. 지난 세기 유럽에서 벌어진 참상에 독일 시인 베르톨트 브레히트는 ‘서정시를 쓰기 힘든 시대’라는 시를 썼고 철학자 테오도어 아도르노는 “아우슈비츠 이후 서정시를 쓰는 것은 야만”이라고 선언했다. 그러나 그 이후로도 서정시는 사라지지 않고 계속 쓰였다.

요즘은 어떤가. 브레히트를 약간 뒤틀면 ‘서정시를 쓰지 않는 시대’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마음을 오롯하고도 깊게 들여다보는 서정시가 점차 귀해지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장석남(60)은 여전히 서정에 정진하고 있는 시인이다. 끝끝내 붙잡고 밀어붙여 기어이 새로운 서정의 세계를 열어젖힌다. 최근 나온 시집 ‘내가 사랑한 거짓말’(창비)은 그 증거다.

“나는 살아왔다 나는 살았다/살고 있고 얼마간 더 살 것이다/거짓말/그러나 내가 사랑하는 거짓말”(‘내가 사랑한 거짓말’)

이미지 확대


자신의 삶을 거짓으로 규정하는 것은 보통의 용기로는 힘든 일이다. 그것은 자칫 스스로를 부정하는 일이 되기에 그렇다. ‘자신의 살아옴’을 거짓이라고 말하는 시인은 그러나 그것을 ‘사랑한다’고 말하며 끌어안는다. “오늘 하루/걷고 먹고/말한 모든 것이/나를 지워가던 일”(‘분장실에서’)이라는 시인의 선언은 ‘나’를 내려놓아야 비로소 내 마음의 정체가, 즉 ‘서정’의 세계가 환하게 열린다는 걸 깨달은 통찰이라고도 하겠다.

“나는 법이에요/음흉하죠/하나 늘 미소한 미소를 띠죠/여러 개예요 미소도/가면이죠”(‘법의 자서전’)

때때로 마음의 바깥도 시인의 일이다. 어지러운 정치와 불합리한 권력에 대해 말하는 정치 시도 여럿 보인다. ‘법의 자서전’에서는 만민 앞에 평등하지 않은 법의 음흉함을 조롱하는가 하면 ‘마술 극장’ 연작에서는 진실을 심판하는 법정을 거짓이 팽배한 극장으로 뒤틀기도 한다. 첫 시집 ‘새떼들에게로의 망명’을 펴낸 게 1991년, 이후 34년간 장석남의 시는 서정의 안팎으로 진동하며 세계의 외연을 넓히는 모양새다. 시인도 이런 평가를 모르지 않을 터. 그러나 읽고 있으면 저릿한 마음이 드는 시가 있다. ‘서정시를 쓰십니까?’라는 제목의 시다. 브레히트의 ‘서정시를 쓰기 힘든 시대’를 인용하고 있는 이 시에서 시인은 자문자답의 형태로 이렇게 말한다.

“서정시를 쓰십니까?/아니요 벼락을 씁니다/벼락 맞을 짓이라는 말을 들어봤나요?/벼락 맞을 짓을 하는 인간들에 대해서/벼락에 고하는 글을 씁니다.”
2025-02-06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