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숙 원불교 교정원장
“원불교 창교 정신을 바탕으로 행복한 정신개벽 공동체를 다져 결복(結福)과 웅비의 교운을 열어가는 데 앞장서겠습니다.” 오는 5월 창교 100돌을 맞는 원불교의 두 번째 여성 수장 한은숙(61) 교정원장이 19일 전북 익산 총부에서 상경, 기자들과 만났다.![한은숙 원불교 교정원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1/19/SSI_20160119172941_O2.jpg)
![한은숙 원불교 교정원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1/19/SSI_20160119172941.jpg)
한은숙 원불교 교정원장
“종교는 이제 실제의 삶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쪽에서 고민해야 한다고 봅니다. 원불교 교단에서는 올해를 정신개벽을 충실히 할 수 있는 중요한 시점으로 여깁니다. 초심의 실천과 축복하는 삶, 은혜 나눔에 충실한 교화 정책을 펴 나가겠습니다.”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교화의 방향을 우선 생각한다는 한 원장은 “이제 딱딱하고 경직된 원불교가 아닌, 소통과 화합이 일상화된 실용과 합리의 원불교가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물질이 개벽하니 정신을 개벽하자’는 창교 표어를 늘 새기고 있는 원불교도 발전 과정에서 물질을 이용한 측면을 부인할 수 없습니다. 그런 만큼 이제 원불교 특유의 마음 공부를 통해 그 부작용과 허물을 다 털고 개벽의 새 100년을 충실히 준비해야 합니다.”
“물질을 잘 쓸 수 있는 정신의 힘이야말로 지금 시대에 꼭 필요한 덕목”이라는 한 원장은 창교자인 소태산 대종사 시절부터 원불교에는 남녀, 출·재가의 차별이 없었음을 상기시키면서 잔재한 원불교단의 차별을 모두 없애겠다고 밝혔다. 여성과 재가자의 참정권을 확대하고 교단·교당 운영과 살림살이에 재가자의 참여를 대폭 늘릴 방침이란다. 특히 쪽진 머리와 검정치마로 상징되는 원불교 여성 교무의 두발과 복장도 임기 중 여론 수렴과 합의를 통해 시대에 맞게끔 간편하고 실용적인 형태로 적극 바꿔 나갈 계획임을 밝혔다.
글 사진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6-01-20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