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의 시작… 나와 우리, 삶의 가치를 돌아봄

돌봄의 시작… 나와 우리, 삶의 가치를 돌아봄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3-12-06 01:21
업데이트 2023-12-06 01: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계간지 ‘창작과비평’ 겨울호

3편의 글로 ‘돌봄의 가치’ 담아
안전·공적영역·노동으로 확장
내적 사유 넘어 사회적 재해석

이미지 확대
‘건강 여부를 막론하고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거나 증진하고, 건강의 회복을 돕는 행위.’

국어사전에서 설명하는 ‘돌봄’의 의미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한국 사회를 비롯해 세계 각국에서는 돌봄에 관한 관심과 담론이 팽창했다.

팬데믹 못지않게 사회적 위기감이 팽배한 현재 계간지 ‘창작과비평’ 겨울호(사진·202호)는 ‘삶을 돌보는 사회를 위하여’를 주제로 세 편의 글을 싣고 현재 한국 사회에서 돌봄이 지닌 가치를 되돌아봤다.

문학평론가 백지연은 ‘돌봄의 시민성과 문학의 공동영역’이라는 글에서 돌봄의 결핍이 민주주의 결핍과 연동돼 있다고 지적한다. 구성원의 삶을 돌보는 일에 소홀하고, 재난과 안전에 대한 방비도 제대로 못 하는 나라에서는 민주주의적 가치가 생존할 수 없다는 것이다. 백지연은 김애란, 금희, 백온유 작가의 소설을 꼼꼼히 분석해 돌봄이 어떤 갈등을 마주하게 되고 시민적 덕성이 어떻게 획득되는지 들여다본다. 그는 “소설이 말하는 진정한 좋은 이웃은 ‘잘 살기’라는 획일화된 가치를 경쟁적으로 탐닉하는 세계가 아니라 함께 돌봄이 만드는 세계에서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도모하는 국가의 제도적 지원, 사회와 시민의 네트워크, 삶의 가치를 돌보고 회복하는 이야기까지 모든 돌봄의 연결망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시인 박소란은 ‘돌보는 사이’라는 글에서 최지은, 조온윤, 최재원의 첫 번째 시집을 통해 시인들의 내밀한 경험과 생활에 대한 고찰이 돌봄을 어떻게 사유하고 있는지 살펴봤다. 박소란은 “돌봄을 사적 영역으로 제한하지 않고 공적 영역으로, 다양한 양상과 다양한 관계로 넓혀 가는 것은 자연적 흐름”이라고 말한다.

그런가 하면 영화평론가 조혜영은 ‘존재의 염려와 산만한 돌봄의 제스처’에서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의 ‘염려’ 개념을 끌어와 돌봄을 재해석하고 확장을 시도한다. 한국 독립영화들을 통해 돌봄의 의미를 살핀 그는 가부장제에서는 오랜 시간 돌봄노동을 여성의 일로 부과하고 돌봄의 가치를 저평가했다고 지적한다. 이 때문에 끊임없이 주변을 관찰하고 타자를 향한 염려를 표현하는 돌봄은 산만함과 집중력 부족, 잔소리, 오지랖 같은 부정적 언어로 낙인찍혀 왔다고 조혜영은 꼬집는다.

이들이 공통으로 말하는 바는 돌봄이 자기 존재 조건을 성찰하는 것에서 시작된다는 점이다. 자기 존재의 성찰은 내적 사유로의 집중을 넘어 세계 내의 다른 존재, 도구, 주변을 둘러보고 배려하는 일로 연계될 수 있다는 말이다.
유용하 기자
2023-12-06 23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