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간지 ‘창비어린이’ 봄호 특집
18~19세기에는 어린이, 청소년들도 노동 현장에 내몰렸다. 그때와 상황은 달라졌지만 플랫폼 자본주의 시대에 아이들은 자기도 모르게 ‘무급 노동’에 내몰린다는 지적이 나왔다. 20세기 초 미국 펜실베이니아 한 탄광에서 일하는 아동의 모습. AP 제공
문예 계간지 ‘창비어린이’ 봄호(84호)는 ‘어린이와 자본주의’라는 주제로 7편의 글을 실었다. 모든 것을 돈으로 환산하는 세태에서 벗어나 진정한 삶의 가치를 깨닫는 자본주의 너머의 세상을 찾고자 한다.
아동청소년 문학평론가 김지은 서울예대 교수는 동화 속에 등장하는 어린이·청소년 주인공들이 경제 주체로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김 교수는 “오늘날 어린이들은 노동이나 생산보다 소비를 먼저 배운다”며 고도로 발달한 자본주의 사회가 점점 더 쾌속의 소비를 하도록 부추기는 것이 문제라고 꼬집었다.
강수환 평론가는 ‘유튜브에 내가 나왔으면’이라는 글을 통해 유튜브로 대표되는 플랫폼 자본주의 속 아동·청소년을 다뤘다. 플랫폼 자본주의 시대에 유튜브 사용은 상품을 생산하는 행위라는 측면에서 일종의 노동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어린이 플랫폼 이용은 18~19세기 아동 노동처럼 어른을 위한 이익과 상품을 만들어 내기 위한 수단으로 전락하기 쉽다”며 “이런 문제를 인식하도록 만드는 것이 아동문학이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2024-03-12 2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