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비뇨기과 김청수 교수팀은 전립선암이 재발한 환자 104명을 대상으로 ‘생식샘 호르몬(Gn-RH)’ 제제의 일종인 ‘류프로렐린’을 12주간 투여한 결과, 97.8%에서 4주만에 남성호르몬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억제되는 등 삶의 질이 뚜렷하게 개선됐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번 임상에는 국산 류프로렐린 성분 약물인 ‘로렐린데포’ 주사제가 사용됐으며, 12주간 투여 후 삶의 질과 테스토스테론, 전립선 특이항원(PSA) 변화 등을 측정·평가했다.
그 결과, 96.6%의 환자에서 12주째까지 테스토스테론 억제 효과가 유지됐으며, 주간 빈뇨 등의 배뇨증상이 개선됐다고 연구팀은 평가했다.
심재억기자 jeshim@seoul.co.kr
연구팀에 따르면 이번 임상에는 국산 류프로렐린 성분 약물인 ‘로렐린데포’ 주사제가 사용됐으며, 12주간 투여 후 삶의 질과 테스토스테론, 전립선 특이항원(PSA) 변화 등을 측정·평가했다.
그 결과, 96.6%의 환자에서 12주째까지 테스토스테론 억제 효과가 유지됐으며, 주간 빈뇨 등의 배뇨증상이 개선됐다고 연구팀은 평가했다.
심재억기자 jeshim@seoul.co.kr
2010-10-1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