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저씨·아줌마 관객몰이 음악극 ‘천변카바레’ 모창가수 배후役 최민철
‘돌아가는 삼각지’, ‘안개 낀 장충단 공원’ 등의 명곡을 남기고 1971년 29살의 나이로 요절한 가수 배호를 40년 만에 무대 위로 불러낸 음악극 ‘천변카바레’(김서룡 연출, 두산아트센터·뮤직웰 제작). 덕분에 객석에는 50~60대가 많다. 극장 측 얘기에 따르면 예매 관객의 절반 정도가 ‘아저씨 아줌마’ 관객이란다. 20~30대 미혼 여성들이 공연장 주력부대임을 감안하면 ‘이변’이다.그래서 객석 풍경도 색다르다. 까악~ 하는 하이톤 목소리보다 배호의 노래를 따라부르는 나지막한 중저음들이 많다. 노래에 맞춘 박수소리도 끊이지 않는다. 물론, 가끔씩 박자를 놓쳐주는 센스(?)도 잊지 않는다. “조~오~타”라는 추임새도 빠지지 않는다. 막판 배우와 관객이 어우러지는 막춤 자리에서는 마음껏 춤실력을 뽐내는 관객도 있다. 역시, 어딜 가나 다같이 노는 자리에서는 트로트가 최고다.
‘천변 카바레’는 배호를 불러내되, 관객 눈앞에까지 들이밀지는 않는다. 배호보다는 배호를 흉내낸 모창가수, ‘배후’로 분한 촌놈 춘식이의 성장 드라마에 가깝다. 1세대 대중음악 평론가로 꼽히는 강헌이 대본 작업에 참여해 사실성을 높이면서도, 앨범 ‘동백아가씨’를 통해 전통가요의 재즈적 변용을 보여준 가수 말로가 음악감독을 맡아 현대적 편곡을 가미했다(말로의 재즈 보컬과 스캣도 즐길 수 있다. 귀여운 ‘발 연기’는 덤이다). 덕분에 배호 노래의 색깔이나 가사가 극 흐름에 알맞게 조율돼 배치됐다. 한국판 6070버전 ‘맘마미아’라 해도 손색없다.
그래도 젊은 여성들의 하이톤 목소리가 빠지진 않는다. 대개 배호와 춘식 1인 2역을 맡은 최민철(34)이 춘식이를 연기할 때다. 동글동글 굴러다니는 연기에 여성관객들도 그만 발을 동동 구르고야 만다. 지난 16일 공연 전 최민철을 만났다.

최민철
→배호를 알았나.
-잘 몰랐다. ‘천변카바레’ 전에 ‘천변살롱’이란 작품이 있었는데 친구 박준면이 했었다. 그 공연을 보고 비슷한 컨셉트면 참 따뜻하겠구나 하고 생각했다.
→실제로 불러보니 어떻던가. 와닿던가.
-가사들이 참 깊어서 좋다. 직접적으로 말하지 않고 시적으로, 비유적으로 에둘러 말하기 때문에 처음엔 맨송맨송하지만, 부르면 부를수록 착착 들어와 감긴다. 특히 ‘마지막 잎새’ 같은 곡은 정말 예술이다. 가사, 음악, 분위기 등 어느 하나 빠질 게 없다. 어르신들이 왜 배호에 빠져드는지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자꾸 연습하다 보니 현실에서는 내가 배우고 배호가 가수지만, 음악에서는 오히려 배호가 배우이고 내가 가수라는 느낌이 들었다. 배호는 정말 목소리가 좋은 사람임에도 목소리에 맞춰 노래를 멋드러지고 화려하게 부르는 게 아니라, 가사와 분위기에 맞춰 목소리를 조절했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런 맛을 살리기 위해 애썼다.
→딜레마다. 노래는 좋은데 젊은 층은 배호를 잘 모른다.
-그래서 음악을 고급화하려 했다. 어차피 그때 그 노래를 그대로 복원할 수도 없고, 그럴 필요도 없다고 봤다. 때로는 재즈, 때로는 블루스, 때로는 스윙 느낌을 넣어서 젊은 분들도 음악적으로 즐길 수 있도록 하려 했다.

→음악감독인 말로와의 호흡은 어땠나.
-주관이 명확해 일하기 편했다. 그리고 필(느낌)이 잘 통한다. 나야 곡 자체는 잘 모르니까 편곡 작업할 때 ‘이 부분은 이런 느낌으로 가면 어때요?’라고 말하면, 말로는 즉석에서 피아노를 드르륵 치며 ‘이런 느낌?’하고 되물었다. 그게 참 정확해서, 역시 프로는 다르구나 생각했다.
→춘식은 촌놈인데 별로 안 순박해 보인다. 바람이나 피우고, 돈 욕심에 무너지기도 하고.
-맞다. 촌놈 하면 떠올릴 수 있는 ‘순박’을 떼어버리려고 했다. 아무리 촌에서 자랐어도 그 세계에서는 좀 놀아본, 닳을 대로 닳은 느낌을 주려 했다.
→약간 촌스럽게 껄렁대는 모습에 여자 관객들이 다 넘어가더라.
-크크크. 그렇다면 다행이다.
→관객 연령대가 충격적(?)이었다.
-흐흐흐. 맞다. 이 공연에서만 느낄 수 있는 묘미다. 지난 주말 공연 때는 정말 어르신들이 많이 오셨다. 그분들이 누구신가. 박수 잘 안 치고, 안 웃고, 호응 안 하기로 유명한 분들 아니던가. 막 오를 때 객석을 스윽 보니 역시나 맨 앞줄이 다 어르신들이더라. 처음엔 눈앞이 캄캄했다. 그런데 그분들이 정말 열광적으로 호응해주셔서 깜짝 놀랐다. 중년 남자분들까지 즐거워하시면서 박수 주시는데 나 스스로도 흥이 확 살더라.
→관객층으로 봐서는 연말에 디너쇼 같은 형식도 좋을 듯싶은데.
-좋은 생각이다. 솔직히 40대 이후 분들은 공연 같은 거 잘 안 보시지 않나. 배우생활 10년 넘게 했지만 그런 분들에게 이렇게 박수받기는 처음이다. 배우인 내가 말할 부분은 아니지만, 지방 순회공연이나 무대를 조금 더 키워서 공연하는 것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21일까지 서울 연지동 두산아트센터 스페이스111. 전석 4만원. 1544-1555.
글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사진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2010-11-1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