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부터 첫 전국투어 ‘트리오 오원’ 양성원·샤를리에·스트로세

4일부터 첫 전국투어 ‘트리오 오원’ 양성원·샤를리에·스트로세

입력 2011-11-04 00:00
수정 2011-11-0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오원(吾園) 장승업(1843~1897)의 생애를 그린 임권택 감독의 영화 ‘취화선’은 2002년 칸영화제에서 감독상을 받았다. 프랑스 영화팬은 물론 문화계 인사 사이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바이올리니스트 올리비에 샤를리에(50)와 피아니스트 에마뉘엘 스트로세(46)도 강렬한 인상을 받은 이들 중 하나. 이들은 오랜 지기인 첼리스트 양성원(44) 연세대 교수에게 감흥을 전달했다.

이미지 확대
양성원(가운데), 올리비에 샤를리에(왼쪽), 에마뉘엘 스트로세는 음악적 내공만큼이나 포토제닉한 면모를 보였다. 이들은 “다음에는 베토벤, 진은숙의 곡을 녹음할 것”이라고 밝혔다.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양성원(가운데), 올리비에 샤를리에(왼쪽), 에마뉘엘 스트로세는 음악적 내공만큼이나 포토제닉한 면모를 보였다. 이들은 “다음에는 베토벤, 진은숙의 곡을 녹음할 것”이라고 밝혔다.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파리국립고등음악원 출신 공통분모

샤를리에는 트리오 이름을 장승업의 호에서 따온 것에 대해 “‘취화선’에서 영감을 받았다. 영화뿐 아니라 예술가로서 혼을 닮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양 교수는 “각자 1년에 60회쯤 공연을 하는데 그중 15회쯤을 함께했다. 트리오의 이름을 찾던 터에 오원을 알게 됐고, 예술혼을 본받고 싶었다. 피카소 트리오니 모네·로댕(트리오) 같은 이름은 이미 다 있더라. 오원은 우리가 특허를 내야겠다.”며 웃었다. 그렇게 ‘트리오 오원’이 탄생했다.

4일 전주(한국소리문화의 전당), 6일 서울(LG아트센터), 7일 수원(경기도문화의전당)에서 ‘트리오 오원’이란 이름으로 국내 첫 투어를 갖는 양성원과 샤를리에, 스트로세를 1일 LG아트센터에서 만났다. 약속시간은 오후 1시 15분. 리허설을 하느라 점심을 놓친 이들은 뒤늦게 샌드위치를 먹으면서 인터뷰에 응했다.

각자 일가를 이룬 세 연주자를 묶는 공통분모는 파리국립고등음악원이다. 양 교수는 초대 파리문화원장으로 부임한 아버지(양해엽 전 서울대 교수)를 따라 초등학교 4학년 때 프랑스로 건너갔다. 14세의 어린 나이에 파리고등음악원에 입학한 양 교수는 당시 실내악 지도교수를 돕던 샤를리에를 처음 만났다. 양 교수가 “30년을 알고 지냈다니 끔찍하다. 이 친구는 강사였는데 이미 연주 경력이 탄탄했다.”고 말했다. 샤를리에는 30년 전 양 교수를 떠올리며 “파리음악원에 학생 대부분이 18~19세에 입학했는데 양 교수는 그들보다 네다섯 살은 어렸다. 그런데도 너무 적응이 빨라 깜짝 놀랐다.”며 미소를 지었다.

스트로세는 양 교수보다 2년 늦게 파리음악원에 입학했지만, 당시 서로 몰랐다. 8년 전부터 같은 에이전트를 둔 인연으로 종종 호흡을 맞췄다. 2008년부터 셋은 트리오 활동을 시작했다. 찰떡궁합을 확인한 이들은 2009년 슈베르트(아르페지오네 소나타), 2010년 드보르자크(첼로 협주곡·둠키 트리오)를 녹음했고, 지난여름 프랑스에서 ‘트리오 오원’이란 이름으로 첫 공연을 가졌다. 지난달에는 ‘트리오 오원’의 첫 음반도 발표했다.

●단점 꼭 지적… 발전 디딤돌로

서로에 대한 신뢰는 음악적 화학작용을 일으켰다. 양 교수는 “음악을 보는 눈도 틀리고, 연주할 때 자신도 알지 못하는 미세한 습관들이 있다. 다른 사람의 지적을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은데 우리는 친하고 서로 존중하면서 지적도 서슴지 않는다. 서로의 발전을 위한 디딤돌이 되는 셈”이라고 말했다. 이어 “인생도, 부부 관계도 비슷하다. 나쁜 버릇을 얘기해 줄 사람이 있다는 건 굉장한 행운이다. 그걸 이겨내면 평생 해로하겠지만 극복하지 못하면 이혼하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덧붙였다.

솔리스트로, 교육자로, 오케스트라 협연자로 눈코 뜰 새가 없는 이들이 트리오에 빠진 이유는 뭘까. 샤를리에는 “1년에 두세 번씩 뭉치는데 그때마다 집중적으로 연습한다. 회를 거듭할수록 더 깊이 들어가고, 각자 활동을 하면서 얻은 경험들이 트리오의 연주에 더해지는 게 매력”이라고 밝혔다. 양 교수는 “눈에 보이지도, 자로 잴 수도 없지만 우리의 색채를 만들어가는 과정이 트리오의 최대 매력”이라고 말했다. 스트로세도 “페스티벌에 가면 다른 연주자들과 몇 번 맞춰 보고 충분히 갈채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그뿐이다. 반면 우리는 인간적으로 신뢰할 뿐 아니라 음악적으로도 굉장히 깊게 파고들어 간다. 내가 트리오를 하는 이유”라고 덧붙였다.

●슈만 등 장승업과 동시대 인물 연주

이번에 트리오 오원는 19세기 독일 낭만주의의 거장 슈만과 멘델스존, 브람스의 피아노 트리오를 들려준다. 오원의 이름을 건 첫 공연인 만큼, 고전음악 거장들이 장승업과 동시대에 활동했다는 점을 고려했다. 전주 3만~5만원 (063)270-8000, 수원 1만~3만원 (031)230-3440, 서울 3만~6만원 (02)2005-0114.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1-11-04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