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검사기 아버지’ 권혁철 교수
한 달 평균 이용 건수만 1300만건
챗GPT보다 뛰어난 오탈자 체크
자소서 쓰는 취준생 필수 코스로
“법인 등에 구독형 수익모델 시도”
권혁철 부산대 명예교수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의 운영 방향을 설명하고 있다.
지난달 정년퇴직한 ‘맞춤법 검사기의 아버지’ 권혁철(66) 부산대 정보컴퓨터공학부 명예교수는 4일 학교 교수실에서 서울신문과 만나 이렇게 말했다.
권 교수는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로 불리는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http://nara-speller.co.kr/speller/)의 개발자다. 권 교수가 퇴직한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검사기 운영을 중단하거나 유료화하는 게 아니냐는 걱정도 이용자들 사이에서 나왔다.
이 맞춤법 검사기는 한 달 검사 건수가 1300만건에 이를 정도로 사용자가 많다. 특히 자기소개서를 쓰는 취업준비생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검사기로 통한다. 오탈자를 확실하게 잡아내는 것은 물론 문맥에 맞지 않는 단어까지 찾아 대체어를 제시하는 탁월한 성능 덕분이다. 챗GPT 같은 생성형 AI보다 뛰어나다.
권 교수는 “생성형 AI가 검사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나는 학교에’ 다음에는 확률상 ‘먹는다’보다 ‘간다’라는 단어가 맞다고 판단하는 식이다. 7만여개의 맞춤법 규칙을 토대로 문장을 검사해 오류를 찾아내는 건 우리 검사기가 더 뛰어나다”고 설명했다.
맞춤법 검사기 운영은 권 교수가 설립한 벤처기업인 ㈜나라인포테크와 부산대 인공지능 연구실이 담당해 왔다. 취업정보 사이트, 언론사 등 기업과 기관에 맞춤법 검사기 프로그램을 판매해 얻은 수익으로 운영비를 충당한다.
그런데 권 교수가 퇴직하면서 회사 운영에 어려움이 많아졌다. 연구실 학생들을 직원으로 채용하다 보니 인건비가 많이 늘었다. 지금까지는 석·박사과정 제자들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실험할 수 있었는데 지금 회사 규모로는 예전만큼 활발하게 연구·개발하기도 어렵다.
권 교수는 “학교에 적을 두고 있다 보니 기업이나 기관의 협조로 꽤 많은 연구를 했는데, 이제는 그것도 힘들어졌다. 맞춤법 검사기 유료 사용자인 법인, 기관 등을 상대로 구독 서비스를 실시하는 등 새로운 수익 모델을 만들어 운영하려 한다”고 말했다.
권 교수는 맞춤법 검사기의 진화를 멈추지 않을 생각이다. 우선 맞춤법 검사기와 생성형 AI의 장점을 접목하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권 교수는 “사람이 규칙을 연구해 입력하는 방식은 스스로 학습하는 AI에 언젠가는 따라잡힐 수밖에 없다. 그동안은 AI를 접목하고 싶어도 운영비가 현재의 100배가 넘어 시도하지 못했는데, 최근에는 거대 AI가 아닌 작고 전문화된 모델이 개발되고 있어 한국어라는 특화 분야에서는 충분히 시도해 볼 만하다”고 말했다.
권 교수는 이어 “‘맞춤법 검사기가 아닌 다른 것에 이 정도로 집중했으면 얼마나 큰 성과를 냈을까’라는 생각을 여러 번 했지만, 언제나 결론은 ‘잘 선택했다’였다. 우리 회사가 무너지면 맞춤법 검사기를 새로 만들려는 회사가 없어진다는 생각으로 매진하겠다”고 덧붙였다.
2024-03-05 2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