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만에 돌아온 한말 의병 문서·임정 편찬 역사서

100년 만에 돌아온 한말 의병 문서·임정 편찬 역사서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4-08-15 02:09
수정 2024-08-15 02: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서’ 13건은 최근 해외서 사들여
‘역사서’ 집필자 인장 찍혀 큰 가치

이미지 확대
14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환수 문화유산 언론공개회에서 한 관계자가 ‘한일관계사료집’을 살펴보고 있다. 국가유산청 제공
14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환수 문화유산 언론공개회에서 한 관계자가 ‘한일관계사료집’을 살펴보고 있다.
국가유산청 제공
일제에 맞서 독립 투쟁을 벌인 항일 의병들의 문서와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편찬한 희귀 역사서가 100여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왔다.

국가유산청과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은 해외에서 최근 환수한 ‘한말 의병 관련 문서’와 ‘한일관계사료집-국제연맹제출 조일관계사료집’을 14일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개했다. ‘한말 의병 관련 문서’는 1851년부터 1909년까지 작성된 13건의 문서로 1907년 조직된 연합 의병 부대인 13도 창의군에서 활동한 허위(1855~1908) 등이 쓴 글과 구한말 대표적인 의병장 최익현(1833~1907)의 서신 등이 포함됐다.

문서는 두 개의 두루마리 형태로 만들어졌다. 두루마리 첫머리에 쓴 글을 볼 때 일제 헌병경찰이었던 개천장치(芥川長治)가 자료들을 모은 뒤 1939년 8월 지금의 형태로 제작했음을 알 수 있다. 개천장치는 각 두루마리에 ‘한말 일본을 배척한 두목의 편지’, ‘한말 일본을 배척한 폭도 장수의 격문’이라는 제목을 적었다.

의병장 유인석(1842~1915)의 시문집 제작 현장을 급습한 사실에 대한 기록에선 일제의 의병 탄압과 강압적 행위를 확인할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일본의 한 고미술 거래업체가 소장한 이 문서를 지난 7월 복권기금으로 사들여 한국으로 들여왔다.

‘한일관계사료집’은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국제연맹에 우리 민족의 독립을 요구하기 위해 편찬한 역사서다. 편찬 당시 총 100질이 제작됐으나 총 4권의 완전한 형태로 전하는 것은 국가등록문화유산인 독립기념관 소장본과 미국 컬럼비아대 동아시아도서관 소장본뿐이다. 지난 5월 미국에 거주하는 한 동포가 기증한 이 자료는 책의 집필자이자 독립운동가인 김병조(1877~1948)의 인장이 찍혀 있어 가치가 크다는 평가다.

2024-08-15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