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갈등 넘어 소통으로] 가계 빚에 신음하는 40대

[세대갈등 넘어 소통으로] 가계 빚에 신음하는 40대

입력 2012-01-02 00:00
수정 2012-01-02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용률 가장 높아… 맞벌이 가구 52%, 적게 쓰고 열심히 벌어도 75% ‘빚더미’

대한민국의 40대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가장 많이 일한다. 자라나는 자녀들의 학비는 물론 집도 장만해야 하기에 돈이 가장 많이 들어가는 시기다. 그래서 빚도 가장 많다.

통계청의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40대 고용률은 78.9%로 다른 연령대보다 높다. 특히 40대는 맞벌이 가구 비율이 52.1%로 평균(43.6%)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다 보니 주말이나 휴일에 다른 여가활동을 하지 않고 쉬는 비중이 40.7%로 전체 평균( 36.8%)보다 높았다. 연령대별 해외여행 경험 비중도 40대가 16.9%로 자녀뻘인 13~19세(9.1%) 다음으로 낮았다.

적게 쓰고 열심히 버는데도 빚은 많다. 금융감독원의 2011년 가계금융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체 가구 중 빚이 있는 가구는 62.8%다. 40대에서는 이 비중이 74.6%로 가장 높다.

그래서 살림은 더욱 팍팍하다.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월세나 사글세(목돈을 미리 내고 월세를 차감하는 방식)를 살고 있는 가구 중 40대가 가장 많다. 월세를 사는 인구 중 40대는 25.1%로 네 가구 중 한 가구꼴이다. 사글세를 사는 인구 중 40대가 차지하는 비율 또한 22.5%다.

그래도 이들은 변화를 꿈꾼다. 40대는 지난 정권 때 ‘386세대’라 불렸던, 80년대 학번들로 대학 재학시절 민주화 투쟁 과정을 겪었다. 이 와중에 사회에 제대로 정착하지 못한 경우도 적지 않다. 그래서인지 시민사회단체에 참여하는 비중이 청년이나 노년층보다 높다. 시민사회단체에 참여하는 비율이 전체 평균 11.0%인 반면 40대는 12.6%로 평균을 훨씬 웃돈다. 시민사회단체에 가장 많이 참여하는 연령은 13~19세로 29.5%다.

공정사회를 위한 개선분야로 교육과 경찰·사법 분야를 가장 많이 꼽은 연령대도 40대다. 조세(27.5%), 취업(22.2%), 경찰·사법(21.0%), 방송·신문(15.0%), 교육(13.9%) 등 5개 분야의 개선 순서는 전체 국민과 똑같지만 경찰·사법은 전체 평균보다 1.3% 포인트, 교육은 2.3% 포인트씩 높았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2012-01-02 4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