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1/12/SSI_20120112021321.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1/12/SSI_20120112021321.jpg)
18차 전대를 앞두고 지난해 하반기부터 지방 당대회를 통해 31개 성·시·자치구 당 간부들이 교체되고 있는 가운데 후 주석의 세력기반인 공산주의청년단(공청단) 출신 인사들이 성급(지방) 당서기를 줄줄이 꿰차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인선 작업이 끝난 15개 성·시·자치구 당서기의 60%인 9명이 공청단 출신이다. 특히 네이멍구(內蒙古)자치구의 후춘화(胡春華·49) 당서기와 후난(湖南)성의 저우창(周强·52) 당서기는 공청단 중앙서기처 제1서기 출신으로, 역시 중앙서기처 제1서기를 지낸 후 주석의 직계이면서 6세대 예비지도자로서 힘을 키워가고 있다.
현재 31명의 성·시·자치구 당서기 가운데 공청단 출신은 18명으로 이미 과반수를 넘어섰다. 후 주석 집권 직전인 2002년 초 성급 당서기 가운데 공청단 출신은 3명에 불과했지만 10년 만에 6배 늘어난 것이다. 공청단 출신이 아닌 인사가 당서기를 맡고 있는 지역 가운데 상하이와 톈진(天津) 등 7개 성·시·자치구는 공청단 출신 인사가 성장이나 시장, 주석을 맡아 지방정부를 이끌고 있다. 광둥(廣東)성과 네이멍구자치구를 비롯한 7개 성·시·자치구는 당·정을 모두 공청단 출신 인사들이 차지하고 앉았다. 공청단 인사들이 배제된 지역은 베이징과 충칭(重慶) 등 5곳에 불과하다.
성급 당서기가 중요한 것은 이들이 결국 최고지도부의 유력한 후보군이기 때문이다. 이들 가운데 상당수가 정치국 위원이나 상무위원으로 올라가 ‘시진핑 시대’의 지도부를 구성하게 된다. 실제 후 주석 집권 직전인 2002년 초의 지방 당서기 가운데 베이징시, 상하이시, 충칭시, 산둥(山東)성, 광둥성, 쓰촨(四川)성 등 6곳의 당서기가 이후 상무위원에 올랐다. 현직 9명의 상무위원 가운데 자칭린(賈慶林·베이징), 리창춘(李長春·광둥), 허궈창(賀國强·충칭), 저우융캉(周永康·쓰촨) 등 4명이 10년 전 성급 당서기를 지낸 인물이다. 현직 상무위원 가운데 ‘진정한’ 후 주석 사람은 차기 총리로 유력한 리커창(李克强) 부총리뿐이다. 장쩌민 전 주석에게서 권력을 물려받을 당시 후 주석이 기용할 인사들이 거의 없었던 것이 큰 이유다. 그래서인지 지난 10년간 후 주석은 노골적으로 공청단 인사들을 발탁, 기용해 왔다.
자신의 시대를 열어가게 될 시 부주석은 결국 상당기간 ‘후진타오 사람들’과의 ‘동거’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시 부주석이 그나마 다행인 것은 상하이시 위정성(兪正聲) 당서기와 충칭시 보시라이(薄熙來) 당서기 등 자신의 지지기반인 태자당(당·정·군 혁명원로 자제 그룹) 일원이 일부 지역과 정치국에 포진하고 있어 ‘용인’(用人)의 폭이 후 주석 집권 초보다는 상대적으로 넓다는 점이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2-01-12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